588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영은-
dc.date.accessioned2018-07-02T06:51:02Z-
dc.date.available2018-07-02T06:51:02Z-
dc.date.issued2016-06-
dc.identifier.citation노어노문학, v.29, no.4, Page. 197-231en_US
dc.identifier.issn1225-0414-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29204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2289-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의 모든 역사와 활동이란 결국 땅에 뿌리를 내리는 지리적 세계를 벗어나서 존재할 수는 없다는 기본적인 인식하에, 본고에서는 1860년대 이후 한인들이 정착한 ‘연해주’의 지리를 둘러싼 담론과 이미지를 한인 작가들의 작품 속에서 고찰하였다. 방법론으로는 러시아 극동을 배경으로 하는 신소설 작가나 러시아극동에서 활동한 한인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그들이 연해주라는 공간 표상을 통해 자신들의 아픈 기억과 척박한 현실 문제, 그리고 미래를 응시했던 재생의 방식을 추적하며 당시의 역사·문화·예술사적 의의를 재조명하였다. 러시아 극동으로 이주했던 한인들의 디아스포라 궤적을 다룬 소설들은 통시적 관점에서 대체로 항일 투쟁 영웅을 통한 뿌리 찾기 단계, 새로운 조국으로서의 사회주의 소련 예찬과 정착 단계, 강제이주 이후 이민족 속에서 고려인으로서 정체성의 고뇌를 했던 단계, 그리고 1990년대 이후의 체제의 붕괴와 다양화 사회로의 개방 단계로 구분된다. 물론, 연해주에서 비롯된 한인문학의 태동은 스탈린의 이주정책으로 연해주에서의 문학적 업적이 고스란히 이어지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러시아혁명을 계기로 조선적 민족주의자에서 국제적 사회주의자로 거듭나게 되는 고려인의 정체성은 이후 고려인의 삶을 규정하고 고려인 문학만의 특수성을 낳았다. 이주 한인들은 자신들과는 이질적인 사회에 동화하는 과정에서 조선과 러시아라는 두 개의 조국을 품으며, 중층적 정체성을 지니게 된 것이다. 이것이 당시 이주 한인들에게 있어 일제와 양반지주를 주적으로 하는 ‘항일무장투쟁’과 러시아 내전 당시 일제나 러시아 백군에 대항해 붉은 군대 일원으로 참전하는 ‘러시아혁명’이 연접되는 이유일 것이다. 러시아 극동에서의 항일 독립운동이 보다 중요한 이유는 이데올로기에 의한 투쟁의 반추를 통해 이 새로운 정착지에서 고려인의 뿌리 찾기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민초들에게 연해주는 생명의 땅이자 자신들을 숨 쉬게 하는 약속의 땅이었고, 조명희를 비롯한 일부 지식인들에게는 망명의 땅이자 조선 해방을 위한 기회의 공간이었다. 그와 같은 민족정신이 문학 작품으로 발현되어 상상의 민족 공동체를 만들게 하고, 그러한 공동체 의식을 통해 민족의 결속력이 강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구소련 붕괴 이후 중앙아시아의 공화국들이 독립하면서 자민족 중심주의가 극단으로 치닫자 이들이 제2의 고향인 연해주로 귀환했던 것처럼, 러시아 극동 한인문학에서 연해주는 한민족 수난사에서 ‘상상의 공동체’를 ‘현실의 공동체’로 귀속시키고, 이를 통해 ‘이념의 공동체’를 구현하고자 했던 민족정신의 산실(産室 )이었던 것이다. In this paper, based on the realization that all history and activities of mankind are inevitably rooted in the land and cannot exist outside the geographical world, the discourse and images of Primorsky where Koreans settled after the 1860s was observed from the works of Korean artists. As for the methodology, the historical/cultural/art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times was revisited by tracing back to the artists’ painful memories, issues of barren reality, and the method of regeneration in contemplation of the future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Primorsky in the new novels based on Russian Far East and the artworks of Korean artists who were active in the region. The novels that deal with the diaspora traces of Koreans who immigrated to Russian Far Eas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 following diachronic phases: finding their roots through heroes of anti-Japanese struggle, glorification of and settlement in socialist Soviet Union as a new homeland, torment from identity crisis as Russian Koreans among the emigrants after deportation, and the collapse of the regime and beginning of diverse society after the 1990s. Certainly, the birth of Korean literature that began from Primorsky did not completely reflect the literary accomplishments in Primorsky due to the immigration policy of Stalin. However, the identity of Russian Koreans that reformed from Joseon nationalists to international socialists in the wake of the Russian Revolution defined the lives of Russian Koreans and gave birth to the uniqueness of Russian Korean literature. Another fact that deserves special attention is that Korean migrants gained layered identities as they embraced both Joseon and Russia as their homeland during the process of assimilating to the disparate community. For Korean migrants, that is the reason why there is connection between the “armed struggle against Japan” that revolted against Japanese rule and aristocrat system in Korea and the “Russian Revolution,” where they joined the Red Army to fight against the counterrevolutionaries of Japan and Russia during the Russian civil war. The fact which is more closely linked and important than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in Russian Far East is that Russian Koreans began the search of their roots at a new settlement through the rumination of struggle on the grounds of ideologies. To the grass roots, Primorsky was the land of life and the promised land that gave them air to breathe, but to some intellectuals such as Cho Myeong-hui, it was the land of exile and opportunity for the independence of Joseon. Such national spirit was realized into literary works and created an imaginary ethnic community, and through such awareness, the solidarity of the nation was strengthened. As people returned to their second homeland of Primorsky when the ethnocentrism reached its peak due to the republics in Central Asia gainingd their independence after the collapse of Soviet Union, Primorsky in terms of Russian Far East Korean Literature reverted the “imaginary community” to a “real community” in the historical struggle of Russian Koreans and cradled the national spirit that sought to realize the “community of ideology” as a result.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한양대학교 교내연구지원사업으로 연구되었음 (HY-2017년도)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en_US
dc.subject러시아 극동en_US
dc.subject한인문학en_US
dc.subject연해주en_US
dc.subject문학지리학en_US
dc.subject항일독립운동en_US
dc.subject소비에트혁명en_US
dc.subject민족정체성en_US
dc.subjectRussian Far Easten_US
dc.subjectKorean Literatureen_US
dc.subjectPrimorskyen_US
dc.subjectLiterary Geographyen_US
dc.subjectArmed Struggle against Japanen_US
dc.subjectSoviet Revolutionen_US
dc.subjectEthnic Identityen_US
dc.title러시아극동 한인문학의 정초(定礎)와 문학 지리학(literary geography): 상상의 지리에서 현실의 지리로en_US
dc.title.alternativeThe Cornerstone of Russian Far East Korean Literature and Literary Geography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page97-114-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영은-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RESEARCH INSTITUTE[S]-
dc.sector.departmentASIA PACIFIC RESEARCH CENTER-
dc.identifier.pidirispen-
Appears in Collections:
RESEARCH INSTITUTE[S](부설연구소) > ASIA PACIFIC RESEARCH CENTER(아태지역연구센터)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