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원제무-
dc.date.accessioned2018-04-19T08:01:43Z-
dc.date.available2018-04-19T08:01:43Z-
dc.date.issued2012-03-
dc.identifier.citation서울도시연구, 2012, 13, P.21-36en_US
dc.identifier.issn1738-7124-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2000206-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6950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북촌 한옥마을의 이미지 요소를 내국인과 외국인 관광객 측면에서 비교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북촌 한옥마을의 개발과 보존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미지 요소의 규명 평가방향은 기존문헌 검토 및 전문가 심층면접 토론(FGI)을 통해 이미지 지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이미지 지표를 토대로 설문조사 자료를 구축하고 신뢰성 분석과 상관분석을 통한 자료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이미지 구성항목을 도출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경관이미지, 시설 이미지, 한옥이미지로 구성되었다. 요인분석을 통한 주요 이미지 구성항목을 토대로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북촌 한옥마을 이미지 요소의 결과는 내국인의 경우 경관이미지(0.57), 시설이미지(0.21), 한옥이미 지(0.20) 순으로 나타났고, 외국인의 경우 한옥이미지(0.34), 시설이미지(0.29), 경관이미지(0.22) 순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내국인은 북촌 한옥마을의 전반적 풍경과 예스런 정취에 대한 이미지 만족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편의시설 등이 취약한 시설이미지와 한옥 자체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외국인의 경우는 한옥 자체에 대한 예술적 구성 이미지에 대한 만족도가 시설이미지 및 경관이미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것은 북촌 한옥마을의 이용 이유가 한옥 자체에 대한 예술적 가치에 외국인들의 이미지가 집약된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북촌 한옥마을의 개발과 보존을 위한 계획 수립 시 내국인과 외국인의 이미지 요소가 다른 점을 인지하고 분리 적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본 연구의 이미지 영향요인 규명이 향후 물리적 지표의 한계를 극복한 정서적 측면의 이미지 영향요인의 규명과 지속적(장기간)이고 다양한 외국인의 이미지 영향요인의 규명을 위한 기초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age factor of Bukchon Hanok Maeul or villag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visitors of Koreans and foreigners and to contribute a policy making for th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the village with the analyzed outcomes. The trajectory to identify and evaluate the image factor has selected an image index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 Delphi interview or FGI. Based on the selected image index, survey items that went through a reliability test and a correlation analysis were established. We conducted a factor analysis to identify the construct items of major images and then found landscape image, facility image, and Hanok image. Using the construct items identified through a factor analysis, we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whose outcome represents that for Koreans, landscape image (0.57), facility image (0.21), and Hanok image (0.20) are sequentially present and that for foreigners, Hanok image (0.34), facility image (0.29), and landscape image (0.22) are sequentially present. As learned from this research outcomes, Koreans tend to represent a fairly high degree of the satisfaction to the overall landscape of Hanok Maeul and its traditional sentiment while tending to show a relatively low degree of the satisfaction to facility image with a short of convenience and Hanok itself. Meanwhile, foreigners tend to present a relatively higher degree of the satisfaction to the aesthetic construct image of Hanok itself than that to facility image and landscape image. This outcome can implicate that the reason for visiting Bukchon Hanok Maeul might result from the combination between the aesthetic value of Hanok itself and the image of foreigners. Therefore, when planning on th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Bukchon Hanok Maeul in the future, it is assumed that practitioners should recognize the different image factors between Koreans and foreigners and then apply different policies to them. Further, we consider that the identification of the image factors will overcome the limitation of physical index, and provide an emotional side of image factors and a critical foundation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image factors of foreigners.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서울연구원en_US
dc.subject북촌 한옥마을 이미지요인en_US
dc.subject경관이미지en_US
dc.subject한옥이미지en_US
dc.subject회귀분석en_US
dc.subjectImage factor of Bukchon Hanok Maeulen_US
dc.subjectLandscape Imageen_US
dc.subjectHanok Imageen_US
dc.subjectRegression Analysisen_US
dc.title이용자 측면의 북촌 한옥마을 이미지 영향요인 규명에 관한 연구: 내국인과 외국인의 물리적 영향요소를 중심으로en_US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on the Image Factors Affecting the Bukchon Traditional Residential Areas - Focused on Physical Factors between Koreans and Foreigners -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1-
dc.relation.volume13-
dc.relation.page21-36-
dc.relation.journal서울도시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차동성-
dc.contributor.googleauthor윤상훈-
dc.contributor.googleauthor진원영-
dc.contributor.googleauthor원제무-
dc.relation.code2012214986-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URBAN DEVELOPMENT MANAGEMENT AND REAL ESTATE-
dc.identifier.pidwon21-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