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 0

김수영 시집의 편집과 구성의 원리

Title
김수영 시집의 편집과 구성의 원리
Other Titles
Editing and Constructing Principle of books of Kim Soo-Young's poetry : Focusing on Comparing with 『Rebellion in the moon country』 and 『Play in the moon country』
Author
이중원
Alternative Author(s)
Yi Joong-Won
Advisor(s)
유성호
Issue Date
201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다양한 이름으로 가져다 쓰이는 김수영이라는 상(像)이 있다. 논의는 폭넓고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그것은 대체로 민음사판의 『김수영 전집. 1, 시』를 기초로 한 것이었다. 『김수영 육필시고 전집』이 출간된 지 8년이 흘렀고, 기존의 원고의 작성자 필적이 김수영, 김수명, 김현경 등으로 혼재해서 나타나며 창작일자를 명확히 할 수 있는 김수영 자필의 일자 기록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파악되었다. 『김수영 전집. 1, 시』의 근간이 되는 『김수영 육필시고 전집』조차 창작일자에서부터 상당 부분 불명확하여 신뢰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현재에도 민음사의 『김수영 전집. 1, 시』를 바탕으로 한 분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창작일자와 육필원고의 본인여부 등을 전혀 알 수 없는 것에 대한 모종의 문제의식은 있었으나 묵시적으로 받아들여졌던 시대의 전집의 위력이, 그 사실을 정면으로 공표한 『김수영 육필시고 전집』을 마주한 후에도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 더욱 아이러니한 것은 정전으로서 활용될 수 있는 그의 시집이 그 탄생 시기가 한참 늦은 『김수영 육필시고 전집』이 출간되기 48년 전부터 존재했다는 것이다. 현재 『달나라의 장난』은 전집에서 개별로 발견될 뿐인 소품들의 묶음에 불과하게 되었다. 40편에 달하는 시집의 작품들은 전집에 띄엄띄엄 실려서 배열 원리를 완전히 상실하여 시집의 흔적은 어디에도 찾아볼 수가 없는데, 그나마 원전을 접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연구자들은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거의 대체로 전집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김수영의 시집을 재조명하고 원전을 다시 파악하기 위한 필요성이 재고되었다. 먼저 1장에서는 『달나라의 장난』의 「후기」에 서술된 시인 자신의 편집방식을 먼저 고려해야 하므로 작품별 연대분석이 이루어졌다. 『달나라의 작란』은 제작연도와 지면 발표일자 등과 무관하게 구성되었고 『달나라의 장난』도 전적으로 “제작역순”에 따라서 구성되었다기보다는 오히려 「후기」에 적힌 시인의 발화를 지나치게 참고한 편집자적 기록을 따라서 즉 ‘편집역순’으로 구성되었다. 2장에서는 시집이 작품 외적으로 편집되는 방식을 고찰했다. 『달나라의 작란』에는 시인 스스로 밝힌 바와 같이 장 구분이 있다. 각 장의 첫 장 전후에 백지 구분이 있고 이는 각 장의 시작을 알리는 페이지를 펼쳤을 때 반대면이 공백으로 구성됨을 의미한다. 위로 넘기는 원고지 특성상 양면구성에서의 차이점이 고려되지 않았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양면구성과 아울러 페이지의 점유율까지도 언급되고 있다. 아울러 어휘와 표현의 교정, 반복과 변주의 기법, 행과 연의 편집원리를 통하여 『달나라의 작란』에서 『달나라의 장난』으로 이르는 과정을 조명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시들을 배열하는 구조를 살핌과 아울러 그에 담긴 의미망을 분석함으로써 내용 구성 방식을 파악했다. 『달나라의 작란』과 『달나라의 장난』 두 판본의 작품 배열 원리를 분석한 결과, 주요하게 활용된 기표는 “설움”과 “생활”이었으며 『달나라의 작란』에서만 배치된 작품들은 첫째 대상과의 관계성에 대하여 탐색하는 관점이 “설움”의 정서로 연결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生活”에 대한 인식적 접근이 “停止”, “休息”과 가까운 속성에서 “설움”을 추동하는 대상으로 나타났다. 『달나라의 장난』에만 배치된 작품들은 “생활”과 관련한 시편들이며 욕되고 죽어 있는 것으로 인식되지만 “行動”을 발현하는 “生活”, 천박하고 통속적이지만 그럼에도 사람과 언어와 직접적으로 연관을 맺는 대상으로서의 “生活”, 그럼에도 고되고 “疲勞”한 것으로서의 “生活”을 이야기한다. ‘II. 텍스트의 편집 원리’에서 본 것처럼 『달나라의 작란』의 제책 구성 방식에서 양면구성과 페이지 여백, 분할 등부터 판권 페이지까지 개별적으로 작도한 세심함의 측면은, 『달나라의 작란』의 의미망이 대상과의 관계를 통하여 설움을 추동하는 것 뿐 아니라 자신의, 그리고 근대 지식인의 일대기적 측면으로서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생각해볼 여러 지점을 남긴다. 그리고 이를 다시 재편하여 가장 최근의 생활시를 전면으로 끌어올린 『달나라의 장난』은, 그의 시와 생각이 “설움”에만 머물지 않고 “生活”의 새로운 토대로 확장하는 확연한 목적성이 있었음을 유추하게 한다. 이러한 의식을 상존하게 했던 것은 편집기간 동안 변하지 않았던 두 개의 위치성으로 양 지(紙) 모두의 최후미에서 독자들을 기다리도록 구성된 「토끼」와, 전란과 수용소 경험 후 피난지 부산에서 가장 처음 발표하였고 그 이후 적지 않은 양작이 있었으나 시집의 제목이자 주제의식으로 선정된 「달나라의 장난」이다. 『달나라의 작란』에서 『달나라의 장난』으로 확장되는 김수영의 시 세계는 “태어날 때부터 墜落을 선고받”으며 다른 누구도 아니고 “스스로 서 있어야” 하는 위치(「토끼」)에서, “설어운 것인데” 그럼에도 “울어서는 아니된다는 듯이 돌”아야 할 지식인의 책임의식(「달나라의 장난」)에 기반한 것이었다.; There’re many different analyses about Kim Soo-Young’s poetry. Discussion was wide and vigorous, but It mostly based on 『Kim Soo-Young’s Complete Works. 1, Poetry』. It’s been 8 years since 『Kim Soo-Young’s Handwritten Complete Works of Poetry』 published, and It’s been found that handwritings of Kim Soo-Young, Kim Soo-Myung and Kim Hyun-Kyung were mixed in the existing manuscripts, so almost all of creation dates were not written by Kim Soo-Young is the key problem. 『Kim Soo-Young’s Handwritten Complete Works of Poetry』, which is even the foundation of 『Kim Soo-Young’s Complete Works. 1, Poetry』, is uncertain about specific creation dates. Still, It is the mainstream that analyses Kim Soo-Young’s poetry based on Minumsa’s 『Kim Soo-Young’s Complete Works. 1, Poetry』. Some critical mind might see that verification on creation dates of handwritten manuscripts was unknown, but It was tolerated because of the authority of the ‘complete works’ still worked even after the problem about written date was revealed by 『Kim Soo-Young’s Handwritten Complete Works of Poetry』. Which is ironic that his book of poetry, which can be used as canon, existed from 48 years ago before 『Kim Soo-Young’s Complete Works. 1, Poetry』 even published. Now 『Play in the moon country』 is just a collection of pieces of poems which can only be found separated in the complete works. 40 works from his book of poetry is individually contained at the complete works, which lost its arranging principle and trace of 『Play in the moon country』 completely, because researchers who have the most likely access to original texts practically use complete works only. By this angle, necessity on reviewing Kim Soo-Young’s books of poetry and original texts is reconsidered. In the first chapter, what Kim Soo-Young mentioned about his editing principle at 「Hu-gi(Epilogue)」 is a prior concern, so analysis on creation dates is made. Edited dates can be found at works in 『Rebellion in the moon country』 are irrelevant to creation dates nor publishing dates, and dates in 『Play in the moon country』 are rather entirely composed by the “inverse order to editing dates” than “inverse order to creation dates”, which can be assumed that this dates referred to what poet mentioned too much. In the second chapter, the editing principle of Kim Soo-Young’s books of poetry viewed external to his work itself. As what poet said in original texts in 『Rebellion in the moon country』, there are separations of chapters. Each beginning page of chapter designed to have blank page at its back and forth, so if you open the first page of the chapter you can see the opposite side empty. Because of the nature of squared manuscript paper turns over pages to upside, It can be thought that composition of both sides is not considered, but he planned how to construct both sides and what to place at each spaces. Also It shows process of editing words and expressions, sharpening repetition and modification technique, and editing principle of stanza and line, so It reveals the process how 『Rebellion in the moon country』 reached 『Play in the moon country』. In the third chapter, how his works are arranged and network of meaning are spreaded is analyzed to find constructing principle of Kim Soo-Young’s books of poetry. By analyzing both 『Rebellion in the moon country』 and 『Play in the moon country』, most utilized words are “Seol-um(Sorrow)” and “Senghwal(Life)”. And works only contained in 『Rebellion in the moon country』 are, first those exploring concepts to the object are linked to the sentiment of “Seol-um(Sorrow)”, second the cognitive approach to “Senghwal(Life)” at his works is familiar to “Jeongji(Standstill)”, “Hyusig(Rest)” and It’s the object what drives subject to “Seol-um(Sorrow)”. Works only contained in 『Play in the moon country』 are related to “Senghwal(Life)”, It recognized as shame and even “dead” though It expresses “Action”, also vulgar and conventional though It connects with people and language directly, still tough and “Tiredness” way to go. The meticulous aspect which planned the construction of both sides, placement and separation of each spaces, and constitution of his own publication right page, which were found at ‘II. Editing Principle of Texts’ is the point what need to be concerned further in the light of the thing that 『Rebellion in the moon country』 isn’t just shown drive to “Seol-um(Sorrow)” by related to the object but also constructed to reveal the modern intellect’s life story. And 『Play in the moon country』, what he reorganized previous concept and pulled his recent “Senghwal(Life)” poems to front page, is firmly inferred that his poems and thought didn’t rest with “Seol-um(Sorrow)”, and expanded to new foundation, “Senghwal(Life)”. How he can hold his position so persistent is by holding two locations which never changed for entire editing period. Those are 「Rabbit」 which constructed to meet readers at the end of the both texts, and 「Play in the moon country」 which was first published when Kim Soo-Young barely reached the Busan after the horrible experience of Korean War and prison camp: the poem was chosen to be his title and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 book of the poetry. His poetic world which is expanded from 『Rebellion in the moon country』 to 『Play in the moon country』, based on the life “be born and destined to fall”, no one else’s help but “stand on their own”(「Rabbit」), though “not to cry but to spin” like the responsibility of the modern intellect(「Play in the moon countr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6917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238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