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엄애선-
dc.contributor.author박혜옥-
dc.date.accessioned2018-04-18T06:20:25Z-
dc.date.available2018-04-18T06:20:25Z-
dc.date.issued2018-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69117-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2300en_US
dc.description.abstract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1991년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되고 도시화되는 추세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고령친화도시: 가이드(Age-friendly Cities: A Guide)’라는 프로젝트를 처음으로 기획하였다. 2017년 10월 현재 한국의 서울, 정읍, 수원, 부산, 제주와 광주 동구 등 총 6개 도시를 포함해 전 세계 500여 개 도시가 WHO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Global Network of Age-friendly Cities and Communities, GNAFCC)에 가입하였다. WHO 고령친화도시 가이드 8대 영역 중 주거는 안전과 복지에 필수 영역으로, 고령자 자신이 소속된 지역 사회 내에서 편안하고 안전하게 나이들 수 있게 해주는 주택과 지원은 가치가 있다. 이렇게 고령친화도시에 우리나라가 특히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어 지난 2017년 8월 말 현재 주민등록인구는 51,753,820명, 만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의 14.02%인 7,257,288명을 기록하여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가족의 구조적 변화에 따라 고령자가구의 형태도 고령자 세 명 중 두 명은 고령자로만 이루어진 가구에서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고령자 부양에 대한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고 고령자 복지를 넘어 주거정책에도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자의 주거환경 만족도가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령자의 주거환경 상태를 파악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고령자가 정든 곳에서 나이들 수 있도록(aging-in-place) 지역사회 정책 개발 및 관련 복지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의 주거실태조사 2016년차 자료 중에서 본인 집을 소유한 60세 이상의 가구주가 포함된 고령자가구 5,846가구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매개변수를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현재의 주거특성으로, 독립변수를 주거환경 만족도로, 종속변수를 주거이동의사로 구분하였고, 통계 프로그램 SPSS 21.0k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고령자가구가 이사를 고려하는 원인으로는 매개변수 중 연령과 주택유형, 독립변수 중 의료시설과 대중교통과 이웃관계를 들 수 있다. 연령은 나이가 많을수록 주거이동의사가 없고, 주택유형은 단독주택에 사는 경우 공동주택보다 주거이동의사가 더 있게 된다. 의료시설과 대중교통에 불만족할수록 주거이동의사가 있고, 이웃관계에 만족할수록 주거이동의사는 없어진다. 이를 통해 나이가 들수록 의료시설과 대중교통이 편리한 공동주택에 머물 수 있도록 지자체와 정부가 유도해야하며, 이웃관계를 돈독히 하기 위해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만들 것을 제안한다.;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first launched a project called 'Age-friendly Cities: A Guide' to respond effectively to the trend of aging and urbanization around the world in 1991. More than 500 cit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Seoul, Jeongeup, Suwon, Busan, Jeju and Gwangju Donggu in Korea, have joined the Global Network of Age-friendly Cities and Communities (GNAFCC) in October, 2017. Among the eight areas of the guide, housing is an integral part of safety and well–being. Housing and support are very worthy for the elderly to feel comfortable and safe in their communities. The reason why Korea is particularly interested in aged-friendly cities is that aging has progressed rapidly. The Korean population was 51,753,820, and the elderly population over 65 was 7,025,788, 14.02% in August, 2017. This means that Korea entered an “aged society.” According to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family, only two of three elderly people live by themselves. Therefore, it becomes a very important issue for the residential policy and social support is responsible beyond the elderly welf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using environment satisfaction on the residential movement. Finally, we propose community policies and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to get older in their places. To do this, we used 2016 data Korea Housing Survey from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and sorted out 5,846 elderly households over 60 years old who own their house. Parameters were divided in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urrent residential characteristics, independent variables were classified as residential environment,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classified as residential movements.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1.0k was carried out for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conclusion, the elderly will be expected to move their residence for their age, housing type, medical facilities, public transportation, and neighborship. The older they are, the less they will move. If the elderly live in a single house, they have more willingness to move than in whom live in an apartment house. The more dissatisfied with medical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the more they will move. The more satisfied with their neighbors, the less they will move. It is suggested that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induce the apartment housings for the elderly with convenient medical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and various welfare services should be made in order to strengthen their neighborship.-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고령자의 주거환경 만족도가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Effect of Housing Environment Satisfaction of the Elderly on Residential Movement-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박혜옥-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yeok Park-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고령산업융합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CTIVE AGING INDUSTRY(고령산업융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