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4 0

비판적 다문화교육을 위한 미술 수업 지도 방안 연구: 문제중심학습을 중심으로

Title
비판적 다문화교육을 위한 미술 수업 지도 방안 연구: 문제중심학습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ing plan of Art Class for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Focusing on Problem-Based Learning
Author
박해인
Alternative Author(s)
Park, Haein
Advisor(s)
김선아
Issue Date
201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세계 곳곳에서는 경계 긋기와 경계 허물기가 양립하는 가운데 다문화주의가 흔들리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사회의 양극화나 고용 불안정, 사회 범죄 증가 등 사회문제의 원인을 다문화주의에서 찾는 등 사회적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갈등을 사회통합과 평화로운 공존으로 전환해 내야 하는 시점에서 미술교육이 어떻게 올바른 다문화주의를 실현시킬 수 있을 것인가에 주목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다문화정책은 동화주의 관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나와 우리의 삶이 아닌 한국으로 이주해온 󰡐타자들󰡑에 한정되고 있거나 다문화 가족 중심의 사회적응, 복지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다문화교육 역시 문화교육이나 차이만을 강조하는 차원에 머물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 구성원 모두가 상대방의 존재와 상호 문화에 대한 공평한 인식과 존중감을 갖고, 생활 속에서 실천적으로 연계시켜 나가도록 하기 위한 대안으로 미술 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구성주의 비판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비판적 다문화미술교육의 방향 및 핵심역량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을 문화 비판, 구성, 혁신의 주체로 상정하기 위한 교수․학습법으로 문제중심학습에 주목하였다. 문제중심학습은 학생들이 문제 상황을 스스로 정의하고 해결과정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현 사회의 지배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인식에 대하여 비판적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능동적으로 다양한 사회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는 데서 비판적 다문화 미술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는 비판적 다문화 미술교육의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교육과정 분석, 수업 대상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두 가지 문제를 개발하였다. 첫 번째 문제는 다양성,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강조하는 것으로 광고 비판적 읽기와 재구성을 주제로 한다. 두 번째 문제는 정체성, 타자화에 대한 비판적 인식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의 인식을 개선하도록 한다. 이에 대한 실천으로 다양한 존재들이 동등한 인격체로서 함께 공존하는 것을 주제로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두 가지다. 첫째는 다양한 사회 현상에 대하여 비판적 사고를 갖도록 하는 것은 이전에 당연하게 받아들이던 편견과 고정관념에 대한 성찰이며,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문제해결의 과정에서 자신이 기존에 갖고 있던 인식을 드러내고 이에 대한 성찰을 통해 교실에서의 학습을 삶에서 유의미하게 전이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두 번째는 실제적이고 비구조화된 문제를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삶과의 연관성을 발견하게 하며 미술을 소통의 도구로써 활용하는 경험을 통해 앞으로의 삶에서 사회 참여와 같은 실천적 영역으로 이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지도안이 학교 미술 교육 현장에서 다문화교육을 위한 구체적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학생들이 사회 현상에 대하여 비판적 태도를 갖고 세계시민으로서 다문화 공존을 실천하는 주체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미술 교사들이 다문화교육을 다른 문화에 지식 위주의 교육, 다문화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라는 기존의 인식에서 벗어나 모든 학생들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이해 교육, 인식 개선 교육, 실천을 위한 적극적 교육으로 나아갈 수 있기를 바란다.; Multiculturalism is shaking as drawing a boundary coexists with pulling down a boundary all over the world in recent years. In South Korea, social conflicts are emerging as some people find the causes of various social issues including polarization, employment instability, and increasing social crimes in multiculturalism. This study focused on how art education would be able to realize multiculturalism right at a time when these social conflicts should be converted into social integration and peaceful coexistence. The current South Korean multicultural policies remain in the perspective of assimilation, being restricted to "others" that moved to the nation rather than the life of me and us and focusing only on multicultural family-centric social adjustment and welfare. It was also foun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remained at the level of cultural education or that of emphasizing only differences. Based on this problematic consciousness,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art education as an alternative to help all the member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have fair awareness and respect for the existence and culture of others and promote their practical linkage in daily life. For this purpose, the study proposed the directions and core capabilities of critical multicultural art education based on the criticism theory. It then focused on problem-based learning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assume the students as the subjects of cultural criticism, organization, and reform. Problem-based learning holds some value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promote critical multicultural art education since it helps the students define their problematic situations for themselves and search for a solution process to develop a critical viewpoint of the current dominant social ideology and social perceptions and solve various social issues actively. This study developed two problems to fulfill the objectives of critical multicultural art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and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the first one concerned an emphasis on critical thinking of diversity and ideology with the topics of reading and reorganizing advertisements critically; and the second one was the improvement of the old awareness with a focus on the critical ideas of identity and otherization. A teaching plan of its practice was a public art project on the theme of the coexistence of various beings as equal personalities. The study had expected effects in two aspects: first, teachers can help the students reflect on the prejudices and stereotypes that they used to accept naturally and form the right values by encouraging them to think critically of various social phenomena. The students can translate their learning in the classroom into their life in a significant manner by revealing their old awareness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reflecting upon it. Secondly, the students can be inspired to find connections between unstructured practical issues and their life and make use of art as a means of communication so that they can move to the practical domain in life such as social participation. The instruction plan for teaching and learning proposed in the study will hopefully serve as a specific guidelin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at many schools. It is expected that the students have a critical attitude toward social phenomena and be the subjects of practicing multicultural coexistence as global citizens. Furthermore, teachers are expected to move toward education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perceptions, and active education for practice for all students rather than old perception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s mainly based on knowledge about other cultures and targets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6891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257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ART EDUCATION(미술교육전공)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