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4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 현-
dc.contributor.author황승현-
dc.date.accessioned2018-04-18T06:19:35Z-
dc.date.available2018-04-18T06:19:35Z-
dc.date.issued2018-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68816-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2606en_US
dc.description.abstract공공도서관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제시한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과 도서관 협회에서 제시한 도서관 기준을 근거로 건립되고 있다. 위의 기준을 바탕으로 지역의 봉사대상 인구수에 따라 도서관의 전체 규모가 정해지고, 그 규모에서 내부공간구성은 자료이용부분, 업무관리부분, 문화교육부분, 공용부분, 기타부분으로 구분된다. 도서관의 특성상 이용, 시설, 문화 등의 정보를 게시하는 공간과 도서의 대출, 관리를 위한 공간, 그리고 담소, 사색, 간단한 간식을 먹을 수 있는 휴게 공간, 이용자 접근의 편의성을 위한 자동차 주차장은 물론이고, 자전거, 킥보드, 유모차 등 이동수단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추가로 필요하다. 하지만 소규모 도서관일수록 이러한 공간이 배분되지 않아, 다른 공간을 침범하거나, 기능상 불합리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2007~2016년) 지자체가 설립한 서울지역 공공도서관 중 시설면적 330제곱미터이상 660제곱미터이하의 소규모 도서관을 12개관 선정하여, 주출입구를 중심으로 한 내·외부공간, 즉 전이공간의 가구 및 시설들을 직접 조사하고 관찰하였다. 전이공간에 배치되는 가구 및 시설의 종류, 위치, 시설에 적용되는 빈도를 분석하여, 필요성을 인지하고, 도서관 건립 시 가구 및 시설물의 도입 여부를 판단하여, 공간을 배분하고, 내·외부공간을 계획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전이, 전이공간 기능, 공공도서관, 서울지역 Keywords : Function of Transitional, Public Libraries, Seoul Area-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서울지역 공공도서관의 전이공간 기능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Function of Transitional Space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황승현-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공학대학원-
dc.sector.department건축토목조경공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