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9 0

최초 주택 구입자와 두 번째 구입자의 주택 구매 및 규모 선택요인 연구

Title
최초 주택 구입자와 두 번째 구입자의 주택 구매 및 규모 선택요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oice of Housing Purchase and Housing Size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 Purchaser
Author
오천진
Advisor(s)
이명훈
Issue Date
201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주택 구매시 점유형태 결정, 선호 주택유형, 규모, 주거환경 등에 대한 연구는 주택시장에서 주택 공급 및 수요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생애 최초로 주택 구매시 고려하는 주택 선택요인 및 선호 거주규모 그리고 두 번째로 주택 구매시 고려하는 주택 선택요인 및 선호 거주규모를 분석하였다. 분석변수의 선정은 설문조사 자료 및 선행연구를 통해 1차 변수체계를 설정한 뒤 전문가 FGI를 거쳐 최종 확정하였다. 최종적으로 32개의 분석변수를 선정하였다. 주택 구매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경우 이항로지스틱 분석을 활용하였고 거주 규모 선택은 현재 거주규모 대비 축소 이동하는 경우와 확대 이동하는 경우를 비교하는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월평균 총소득, 총 부채금액, 이사시 선호 주택면적, 가구원수, 무주택기간 등이 무주택자의 주택 구매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거주 규모 선택에 있어서는 무주택기간이 길어질수록, 월평균 총 생활비와 총 부채 금액이 많은 가구가 그렇지 않은 가구에 비해 현재 거주 규모에 비해 규모를 축소해서 자가 이동할 확률이 높아진다. 반면, 가구원수가 적을수록 또 직장까지의 통근거리가 먼 가구가 그렇지 않은 가구에 비해 현재 거주 규모에 비해 규모를 축소해서 자가 이동할 확률이 높아진다. 다음으로 생애최초로 마련한 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가구를 대상으로 두 번째 주택 구매 선택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총 주택자산, 추가 주택 구매 의사, 가구원수, 월평균 총 소득, 총 부채금액 등이 두 번째 주택 구매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거주 규모 선택에 있어서는 가구원수가 감소할수록, 교육환경에 불만족할수록, 투자용 주택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가 현재 주택 규모에서 축소 이동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가구원수, 아파트 거주 여부, 거주주택 교육환경 만족도, 월평균 총소득, 총 금융자산 등 5개 요인은 두 번째 주택 구매시 현재 규모에 비해 거주 규모를 확대해서 자가 이동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용면적 기준 국민주택 규모(85㎡)의 주택은 당장은 보이지 않지만 장기적으로 수요가 꾸준히 요구되는 규모이므로 꾸준히 공급을 장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주거소비를 다양화하고 주거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도 향후 주택구조의 공급방향은 일주권과 생활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기술적노력과 정책적 기준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주거관리에 들어가는 비용이 높을수록 주거이전시 주택규모를 축소하는 경향이 크다. 따라서 주거안정성 측면에서 주거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이 적정수준을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정책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6873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295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URBAN DEVELOPMENT MANAGEMENT AND REAL ESTATE(도시개발경영·부동산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