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1 0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Title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 in Multicultural Families
Author
염경진
Alternative Author(s)
Yeom, Kyeong Jin
Advisor(s)
이정숙
Issue Date
201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 in Multicultural family. Surveys were administered on 180 children of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in 26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Choengju, Daejeon, and Daegu.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 was measured with “Inventory on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 developed by Kim Moon-Jeong(2003). Self-efficacy was measured with “Inventory on Self-efficacy” developed by Cha Jeong-eun(1997). Peer relationship was measured with “Inventory of peer attachment” developed by Kim Ju-hee(2017).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2.0 program.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ffectionate and acceptive attitude had the highest average score among three attitude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average score of children’s self-efficacy was higher than median. The average score of children’s peer relationship was also higher than median. Second, those who had perceived their parents’ attitude more affectionate and acceptive had better relationship among friends, and their self-efficacy was higher in a multicultural family. On the other hand, if children in a multicultural family perceived their parents as unaccepting and controlling, they experienced difficulty in their peer relationships. Third, affectionate and acceptive attitude affected children’s peer relationship and self-efficacy more than other attitudes did in a multicultural family. Fourth, a parents’ affectionate and acceptive attitude affected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not only directly, but also indirectly through children’s self-efficacy.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parent education and self-efficacy programs could be used to improve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in a multicultural family.;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아동의 또래관계 및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이 또래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부모교육 및 아동의 또래관계 상담에 필요한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지역 7개, 충북 지역 13개, 대전 지역 5개, 대구 지역 1개 총 26개 다문화 중점학교에 소속되어 있는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중 한국인 부와 외국인 모 국제결혼 가정에서 태어난 다문화 아동 180명이었다.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아동용 부·모 양육태도 척도’ (박영애, 1996)를 사용하였다. 아동의 또래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또래 관계 척도’ (김주희, 2017)를, 아동의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 (한혜진, 2002)를 사용하였다. 연구자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각한 부와 모의 양육태도에서 모두 온정·수용태도의 평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또래관계의 평균은 모두 중간 점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를 온정적이고 수용적으로 지각하는 다문화가정 아동은 자기효능감이 높으며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하지만, 부모를 모두 거부적이고 제재적으로 지각하는 다문화가정 아동은 또래관계에 어려움을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아동은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셋째, 다문화가정 부·모의 온정·수용양육태도가 또래관계와 자기효능감에 다른 양육태도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다문화가정 부모의 온정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는 자녀가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교육 및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 증진프로그램을 통해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6825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240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LD PSYCHOTHERAPY(아동심리치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