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0 0

식이를 통한 타르계 색소의 섭취량 및 안전성 평가

Title
식이를 통한 타르계 색소의 섭취량 및 안전성 평가
Other Titles
Estimation of Daily Dietary Intake and Safety Evaluation of Tar Colors in Foods
Author
백상우
Alternative Author(s)
Baek, Sang Woo
Advisor(s)
엄애선
Issue Date
201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식품산업의 발달과 함께 식생활이 간편화, 다양화되고 이에 따라 다양한 가공식품이 개발되고 있다. 다양한 가공식품의 개발은 식품의 가공 편의성, 영양 강화, 선택성 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식품첨가물의 종류와 소비 또한 증가시켰다. 특히, 식품에 관한 소비자의 선택기준이 내적 품질뿐만 아니라 외형적 가치에도 비중을 두게 됨에 따라 식품첨가물 중 착색료는 식품의 색을 아름답게 하여 제품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가공 단계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 중 합성색소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타르계 색소는 착색이 잘 되고 효과가 장기간 지속되기 때문에 천연색소의 변색 등 가공적성의 보완 및 식품의 기호성 증진 등의 목적으로 식품의 제조 및 가공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록 미량이긴 하지만 가공식품에 의도적으로 첨가되는 식품첨가물은 일반 소비자들에게 장기적으로 노출되는 물질이라는 점에서 이의 안전성에 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타르색소는 석탄타르 중에 함유된 벤젠핵이나 나프탈렌핵으로부터 합성한 물질로서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물질을 합성하여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소비자들의 부정적 평가를 받고 있는 물질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품 중 타르계 색소의 섭취량 및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로서 식품 중 타르색소의 함유량 분석 결과를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이섭취량 결과에 대입하여 식이를 통한 타르색소의 노출량을 산출하여, 식품을 통한 타르색소 섭취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식품첨가물공전의 각 타르색소 사용기준에 따라 타르색소 사용대상 식품유형을 분석 시료로 선정하고 2014-2016년 품목제조보고서와 수입신고서,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다빈도 섭취식품유형 정리 결과, 2010년 및 2013년에 수행된 타르색소 안전성 평가 연구결과 등을 분석하고 시장 조사 결과를 참고로 하여 전국 5대 권역에서 1,455건의 시료를 수집하였다. 식품 중 타르색소 분석법은 식품공전에 제시된 타르색소 분석법을 적용하였고 분석법의 적용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검량한계, 검출한계, 회수율에 관한 검증도 실시하였다. 식품 중 타르색소 함유량 조사 결과와 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품섭취량을 토대로 타르색소 9종에 대한 일일섭취추정량(Estimated daily intake, EDI)을 산출하고 이를 설정된 일일섭취허용량(Acceptable Daily Intake, ADI)와 비교하여 위해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결과의 식품섭취량으로 산출한 조사자 전체의 EDI/ADI(%)는 0-0.8147%, 90th 0-2.5397%, 95th 0-4.9814%였으며, 섭취자 전체의 EDI/ADI(%)는 0-0.8222%, 90th 0-2.5593%, 95th 0-5.0053%였다. 산출된 타르색소 9종의 EDI가 모두 JECFA와 EU에서 설정된 ADI보다 낮아 식이를 통한 타르색소의 위해성 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식품 중 타르색소 섭취량 및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국내 유통 중인 식품 중 타르색소의 함유량을 조사하고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적용하여 식품을 통해 섭취하는 타르색소의 수준과 안전성을 평가함으로서 국내 타르색소의 섭취 안전성 평가에 대한 기초자료 등을 제공하고 식품첨가물의 안전성에 관한 소비자들의 막연한 불안감 해소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Korea Food Additive Code(KFAC), 9 tar colorants and its aluminum lakes (Tartrazine, Sunset Yellow FCF, Amaranth, Erythrosine, Allura Red AC, Ponceau 4R, Brilliant Blue FCF, Indigo carmine and Fast Green FCF) are permitted to be used as coloring agent in various processed foods. Even though individual tar colors are controlled based on Acceptable Daily Intake (ADI), concerns about their safety have been increased according to the growing interests on the health effe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amount of tar colorant contents in selected foods, based on newly developed official quantitative test metho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PDA). Sampling plan was determined based on permitted foods in KFAC, considering Food Manufacturing and Item manufacturing report and Import declaration, reflecting results of market research. To investigate Estimated Daily Intake(EDI) of tar colors through foods to evaluate food safety, a total of 1,455 items were purchased as samples and respective contents were analyzed. Each EDIs were calculated by applying results of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KHANES) conducted in 2013-2015. Intake level and safety levels of intake were evaluated through comparison with ADIs suggested by JECFA and EFSA. Among 1455, 445 samples were detected at least 1 tar colors. Results of the risk assessment of tar colors, expressed as EDI/ADI(%) were 0-0.8147%, 0-4.9814% relatively in all 9 tar colors and high risk groups for tar color intake(95th), based on 2013-2015 KHANES data base among entire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each EDI of 9 tar colors in domestically circulated, processed foods is much lower than each ADI in general. Consequently intake levels of tar colors are considered to be safe for consumption and these analysis results would be used as fundamental data to estimate dietary intake of tar colors and further safety evaluation studi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6821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264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FOOD & NUTRITION(식품영양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