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9 0

소아의 장기별 적정 방사선촬영 유효선량 평가

Title
소아의 장기별 적정 방사선촬영 유효선량 평가
Other Titles
Optimum Effective Dose of Radiograph for Body Organs by Phantom for 10 year-old children
Author
이배원
Alternative Author(s)
Lee, Bae Won
Advisor(s)
송재철
Issue Date
201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의료방사선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진료과정에서 받게 되는 방사선 피폭선량도 커지고 있다. 소아의 경우 성인보다 방사선 감수성과 영향이 크기 때문에 피폭선량의 관리가 성인보다 중요하다. 이 연구는 10세 소아팬텀과 광자극발광선량계를 이용하여 소아(10세 기준)의 임상과 식약처 촬영조건으로 부위별 입사표면선량과 장기선량을 직접 측정하였다. PCXMC (PC-based Monte Carlo program)를 이용한 예측 값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장기선량 실측값을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그룹별 촬영부위 입사표면선량 및 장기별 합산 값 분석 결과 1) 두부전후촬영에서 임상조건의 입사표면선량과 장기별 합산 값은 각각 0.411 mGy과 1.225 mGy로 모두 임상조건이 낮았으며, 두부측면촬영에서도 임상조건의 입사표면선량과 장기별 합산 값은 각각 0.454 mGy과 1.052 mGy로 역시 모두 임상조건이 낮았다. 2) 흉부후전촬영에서 임상조건의 입사표면선량과 장기별 합산 값은 각각 0.147 mGy과 0.225 mGy로 모두 임상조건이 낮았으며, 흉부측면촬영에서 입사표면선량은 0.158 mGy로 식약처조건이 낮았으나, 장기별 합산 값은 임상조건이 0.323 mGy로 낮았다. 3) 복부전후촬영에서 임상조건의 입사표면선량과 장기별 합산 값은 각각 0.603 mGy과1.034 mGy로 모두 임상조건이 낮았다. 4) 골반전후촬영에서는 입사표면선량은 0.766 mGy로 식약처조건이 낮았으나, 장기별 합산 값은 1.298 mGy로 임상조건이 낮았다. 2. 장기별 평균값 임상과 식약처조건 분석 결과 장기별 평균값 비교 결과 두부(전후, 측면)촬영에서 뇌, 뼈, 눈, 갑상선(상부, 하부)이, 복부전후촬영에서는 간, 위, 신장, 난소, 전립선, 고환, 뼈에서 모두 임상이 식약처조건보다 낮았다. 흉부(후전, 측면)촬영에서는 뼈, 갑상선, 유방을 제외한 폐, 식도, 심장, 간, 췌장, 위가 골반전후촬영에서는 방광을 제외한 신장, 난소, 전립선, 고환, 뼈에서 모두 임상이 식약처조건보다 낮았다. 3. 임상조건의 장기별 실측값과 PCXMC 예측 값 분석 결과 두부(전후, 측면)촬영에서 뇌, 뼈, 갑상선, 흉부(후전, 측면)촬영에서 폐, 뼈, 갑상선, 식도, 유방, 심장, 간, 췌장, 위가, 복부전후촬영에서 간, 위, 신장, 난소, 전립선, 고환, 뼈가, 그리고 골반전후촬영에서는 신장, 난소, 전립선, 방광, 고환, 뼈에서 모두 실측값이 예측 값보다 낮았다. 연구결과 촬영 부위별로 대부분 임상이 식약처 조건보다 입사표면선량과 장기선량이 낮았으며, 실측값이 PCXMC를 이용한 예측 값보다 장기선량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촬영조건의 개선을 통해 불필요한 피폭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 연구의 범위를 성인과 각 연령대로 확대한다면 진단 참고기준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며 선량관리에도 기여할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6814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261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HEALTH SCIENCES(보건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