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3 0

Skill Formation and Career Development of Master Craftswomen in the Korean Clothing and Textile Industry

Title
Skill Formation and Career Development of Master Craftswomen in the Korean Clothing and Textile Industry
Author
임상훈
Keywords
Korean clothing and textile industry; craftswomen; skill formation; career development; 여성명장; 의류및섬유산업; 숙련형성; 경력개발
Issue Date
2014-12
Publisher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Citation
산업관계연구, 권: 24. 호: 4, 페이지: 29-54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의류 및 섬유산업의 여성 명장에 대한 숙련형성 및 경력개발과정을 보여주는 데 있다. 성공한 생산직 기능인인 여성 명장의 경우, 전문직이나 사무직 여성과 구별되는 독특한 숙련 및 경력개발 메커니즘이 있다. 여성 명장들은 초기에는 비공식적인 가족 영역에서 익힌 기본적인 기술수준에서 시작하여 점차 장인적 기술로 업그레이딩하게 된다.초기 단계의 기본적인 기술이 숙달된 기술로 발전한 데는 중요한 요인이 있었다. 공통적인 여성 명장의 특성은 대기업 생산 공장에 취업하여 기술을 익힌 것이 아니라 제품 생산의 전 공정을 경험하는 방식으로 본격적인 경제활동을 하였다는 것이다. 개인 가게를 운영하면서 영업활동을 하는 방식, 가내에서 소규모 작업팀을 구성하여 생산하는 방식, 혹은 개인 가게를 운영하는 한편 해외기업으로부터 직접 주문을 받아 수출활동에 참여하는 방식이 있다. 여성 명장들은 구상과 집행을 통합하는 작업과정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며 이과정에서 초보적인 기술은 숙달된 기술로 발전하였다.1980년대 중후반을 거쳐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전개된 의류 및 섬유산업의 위기는 오히려 여성 명장들에게는 장인적 수준으로 숙련을 업그레이딩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 시기 동안 여성 명장들은 디자인 기능이 결합된 부가가치 높은 작품이나 개인 작품활동에 주력하였다. 1990년대 이후 여성 명장들은 각종 대회에 작품을 출품하거나, 전시회나 패션쇼에 참여하는 등, 일련의 예술적 활동을 통해 창의성에 기반한 장인적 기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었다.여성 명장들이 보여준 경력개발은 프리랜서 등 최근 비전형적인 직업군에서 확대되고 있는 ‘포트폴리오 경력개발’ 유형과 그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 여성 명장들의 경력개발에 중요한 자원이 된 사회적 네트워크는 비공식적인 친목모임뿐만 아니라 공식적 기구에 대한 전략적 참여를 통해 확대되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clothing and textile craftswomen"s unique skill and career development mechanism,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professional women in a firm"s internal labor market. During their childhood and youth, the craftswomen first acquired their basic skills from family members. In the heyday of the industry, the craftswomen did not work for large companies but were engaged in one of three types of economic activities: running their own shops for patrons, organizing small home teams for production, or specializing in overseas orders. These activities shared a common characteristic-the craftswomen were responsible for every step of the production process from conception to execution. This comprehensive experience resulted in their skills being upgraded; however the crisis of the clothing and textile industry in the mid-80s and the 90s finally provided the craftswomen with opportunities to upgrade their skills to mastery level. This crisis led the craftswomen to grasp the importance of design and further articulate their encompassing knowledge and skills. This, in turn, enabled them to produce high-value-added products and handle artistic/creative works. The career development pattern of the craftswomen is similar to the portfolio career development of atypical professionals, such as freelancers. The craftswomen actively constructed social networks by attending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informal social gatherings.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076534http://hdl.handle.net/20.500.11754/54502
ISSN
1226-405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BUSINESS[S](경영전문대학원)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