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1 0

일본 셰어하우스 사례조사를 통한 도시형 생활주택의 공용공간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Title
일본 셰어하우스 사례조사를 통한 도시형 생활주택의 공용공간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s for Public Space of the Urban-life-housing by Japanese Share Housing Case Study
Author
남경숙
Keywords
셰어하우스; 공용공간; 도시형 생활주택; 1인 가구; Share Housing; Public Space; Urban-life-housing; Single-person Households
Issue Date
2013-06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3, 19(2), P.306-321
Abstract
현대사회에 들어서면서 가족구조의 변화를 통해 1-2인 가구가 급속히 증가하였다. 이에 정부에서도 기존의 법을 완화하여 소형주택 보급을 활성화 하고자2009년 5월 4일 도시형 생활주택 제도를 도입하였으나 완화된 법규만큼 입주자의 생활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셰어하우스의 개요 및 공용공간의 공간구성을 사례연구하고 그 특징을 도출하여 국내 도시형 생활주택의 공용공간 발전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사례조사는 일본 내 셰어하우스 최대 업체인 리비타의 공유플레이스 사이트에서 사례를 추출하여 공간설명을 참고하고 도면을 통해 공간 종류와 구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일본 셰어하우스 대표기업인 리비타가 운영하는 공유플레이스에서 도쿄에 위치하며 2010년 이후 리모델링한 셰어하우스 3곳의 사례로 한정하였다. 이렇게 셰어하우스의 특성을 분석한 후 그것을 토대로 도시형 생활주택의 공용공간 발전 방향을 제안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주택내 공용공간은 접근성이 좋은 위치에 전체면적의 일정 비율 이상 계획되어야 한다. 또한 거주자의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종류의 공간으로 계획되어야 하며 면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공간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다목적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하고 자투리공간을 충분히 활용하여 계획한다. 부가적으로 각 주택만의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심미적 쾌적감을 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소형 공동주택의 발전 모델로 공용공간의 확대를 제안한 연구로써 일본의 발전된 사례를 조사하여 우리나라의 현황과 비교하고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구축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개발되는 국내 도시형 생활주택은 공용공간에 관한 연구가 다각도로 이루어져 1인 가구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주거형태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Entering the era of modern society, there has been a rapid growth in the number of single- or two-person households through the changes of family structure. In an attempt to alleviate the existing laws and activate the spread of small-sized houses,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urban life housing system on May 4, 2009. However, voices have been raised about the possibility that quality of life might drop among the tenants due to the alleviated acts and regulations. This study thus conducted a case study on the overview of share housing in Japan and the spatial organization of its public space, identified its characteristics, and proposed some directions for developing the public space of urban life housing in South Korea. For the case study, the investigator found a group of cases at the place sharing site of Revita, Japan`s largest share housing company, and examined the types and organization of space on the drawing by consulting space explanations. The research scope was limited to three cases of share houses located in Tokyo at the place sharing site run by Revita and remodeled after 2010.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share housing characteristics, the study made the following proposals regarding directions of developing public space in urban life housing: The location of public space is easy for anyone to access and the space should be large enough for every dwellers. And there should be diversity in the types of space. Spaces should be organized to be connected with each other organically. Remnant space should be put to full use and planned to serve multiple purposes. Such an approach to organization will help to diversify the types of space and deliver an aesthetic sense of pleasure with a differentiated design for each house. The study proposed the expansion of public space as a model to help to develop small-sized apartment housing in the nation. It claim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d the advanced cases of Japan and built a set of data for comparison and consultation with the current state of South Korea. It is required to conduct multifaceted researches on the public space of urban life housing to be developed in the nation so that it will progress toward a housing format to increase quality of life in single-person households.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542820http://hdl.handle.net/20.500.11754/54490
ISSN
1598-6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 ECOLOGY[S](생활과학대학)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