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2 0

협동학습경험이 지각된 교사지원과 내재적 학습동기를 매개로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Title
협동학습경험이 지각된 교사지원과 내재적 학습동기를 매개로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 on Middl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Mediated by Perceived Teacher Support and Intrinsic Motivation
Author
신태섭
Keywords
내재적 학습동기; 중학생; 지각된 교사지원; 학업성취; 협동학습경험; academic achievement; cooperative learning; intrinsic motivation; middle school students; teacher support
Issue Date
2013-09
Publisher
한국교육심리학회
Citation
교육심리연구, 2013, 27(3), P.739-759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 2010년 중학교 3학년 자료를 사용하여 중학생들의 협동학습경험이 지각된 교사지원과 내재적 학습동기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고 주요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인 간의 구조관계를 분석한 결과, 협동학습경험, 지각된 교사지원, 내재적 학습동기, 학업성취 간의 모든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각 변인 간의 관계를 자세히 살펴보면, 학생의 협동학습경험은 지각된 교사지원을 매개로 내재적 동기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동학습경험은 지각된 교사지원을 매개로 내재적 동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후 이것이 다시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협동학습경험은 내재적 동기를 직접 매개함으로써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다른 변인을 통제하였을 때 협동학습경험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약하지만 부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협동학습의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교사를 지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과 학생들의 내재적 학습동기를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해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how its effects were mediated by perceived teacher support and intrinsic motivation, using the KEDI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and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A Study on the Middle Schools” 2010 data.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 perceived teacher support, in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t was found that the direct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 on achievement was negative while the mediating effects through perceived teacher support and intrinsic motivation were positive. Results suggest that teacher support and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play an important role between cooperative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finding were discussed in detail.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763964http://hdl.handle.net/20.500.11754/53936
ISSN
1225-4290
Appears in Collections:
OFFICE OF ACADEMIC AFFAIRS[S](교무처)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