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 0

뉴미디어가 이끄는 중국 담론지형의 변화

Title
뉴미디어가 이끄는 중국 담론지형의 변화
Other Titles
A New Media Leading the Chinese Configuration of Discourse Change
Author
조복수
Keywords
뉴미디어; 담론권; 다원화; 중국문화; 대중문화; New media; Discourse Rights; Pluralism; Chinese Culture; Popular Culture
Issue Date
2013-11
Publisher
한국사회역사학회 Korean Association Of Socio-Historical Studies
Citation
담론 201 Discourse 201, 2013-11, 16(4), p. 33-65
Abstract
이 글은 담론권을 대상으로 시대의 변화에 따른 그 주체들의 변화와 주요 의제들을 고찰하고, 뉴미디어의 등장이 가져온 중국 담론지형의 변화를 분석한다.그리고 이를 통해, 사회문화적 변동의 관점에서, 쌍방향 소통이 활성화 되면서,중국 사회도 점차 개방적이고 소통이 가능한 사회를 지향해 가고 있음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시대별 고찰을 통해 담론권이 당과 국가의 신성한 권력에서 경제주체들로,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다시 일반대중들에게로 확대되어 담론권 다원화시대가 도래를 확인했다. 더불어, 저항, 비평, 수용, 참여 등이 이루어지고 이러한형식들이 점차 중국인들의 일상으로 가까이 가고 있음은 뉴미디어가 이끄는 새로운담론지형의 구체적인 모습이다.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를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일반대중들이 담론권의 주체가 될 수 있게 되었다. 일반대중은서로 다른 사고를 가지고, 서로 다른 생활환경에서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을 가리키는데, 그들도 이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채널을 갖게 되었다. 둘째,뉴미디어의 등장으로 다양한 의제들이 논의되고 있다. 과거, 전통적 사회주의 시기, 모든 사회적 환경자체가 사회주의였던 상황에서, 논의될 수 있는 의제는 단지사회주의와 관련한 것들 뿐 이었다. 시장의 등장이 기존의 대중 매체들을 통해 경제적인 의제들에 대한 논의가 가능하도록 했다면, 뉴미디어의 등장은 정치, 경제뿐 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오락적 의제들도 논의의 대상이 되도록 하고 있다.셋째, 뉴미디어는 담론권을 중국인들의 일상 속으로 가져가면서 의제의 다양함을넘어 일상속의 사소함까지 끌어들이고 있다. 이상을 통해 알 수 있는 바, 뉴미디어가 이끄는 중국 담론지형의 변화란 사회적 소통네트워크가 활성화 되고 권력분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오늘날 열린 중국의 모습이다. This article observes the changes of main agendas and subjects concerning the right to discourse in China and analyzes the changing trend that the new media brought to China. From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the article tries to prove that due to the invigoration of the two-way communication channel, Chinese society is increasingly turning towards more open and communicative-friendly society. Through the chronological observation, the right to disclose, which was in fact the divine right of the party, has evolved from the nation to the economic actors. The article argues that the emergence of new media has expanded towards the public, diversifying the right to disclose.Moreover, resistance, criticism, agreement and participation of the Chinese public stipulate the new trend of the right to disclose driven by the new media.With the aforementioned arguments, the following can be concluded.First, the emergence of new media allowed the public to be the principal agents of the right to disclose. General public holds diverse thinking with diverse backgrounds. This allowed them to have the channel to express their own intentions. Second, the emergence of new media allows diverse agendas to be discussed. In the socialistic community where discussions were restricted by law,the debatable agendas were only those related to socialism. If the emergence of market opened the debate on economic agendas, the emergence of new media allowed for political, economic an diverse societal issues to be addressed. Third,new media attracted minor details of the daily lives of the Chinese public. As inferred by the article, the changes of the right to disclose in China led by new media resulted in opening up with the societal communication network and openness of the current China.
UR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85558http://uci.or.kr/G704-001340.2013.16.4.004http://hdl.handle.net/20.500.11754/53793
ISSN
1225-0333
DOI
10.17789/discou.2013.16.4.002
Appears in Collections:
RESEARCH INSTITUTE[S](부설연구소)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