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4 0

서울시 상업지역 토지이용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서울시 상업지역 토지이용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and Use Changes in the Seoul Metropolitan Commercial Areas
Author
이명훈
Keywords
상업지역; 토지이용 변화; 개발밀도; PLS회귀분석; Commercial Area; Land Use Change; Development Density; PLS Regression Analysis
Issue Date
2014-12
Publisher
한국지역개발학회. /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Citation
한국지역개발학회지(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26,No.5 [2014] ,PP. 95-114(20쪽)
Abstract
본 연구는 상업지역은 지정취지에 맞는 적정한 기능수행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전제하에 서울시 상업지역의 토지이용의 실태와 개발밀도 현황을 살펴보고 용도변화 특성을 분석하여 서울시 상업지역의 기능회복을 위한 관리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상업지역의 공간분포특성과 2003년과 2010년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서울시 상업지역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한다. 둘째, 용적률 증가율과 주거대비 상업용도 비율의 변화율을 기준으로 한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하여 상업지역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토지이용 용도 및 용도 변화, 개발밀도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상업지역 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현용적률과 인문사회, 토지이용, 건축, 개발, 교통환경 특성을 고려한 변수를 선정하여 관계를 파악하고 서울시 도시관리정책과 연계하여 지역특성을 고려한 서울시 상업지역의 관리방향을 제시한다. 분석 결과, 첫째, 서울시 상업지역은 전반적으로 용적률 실현율의 절반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나 아직 개발 가능한 용량이 많음을 알 수 있었으며 2003년과 2010년을 비교한 결과, 상업지역 내 주거기능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둘째, 포트폴리오 결과, 상업용도성장지역, 주거용도성장지역, 주거용도안정지역, 상업용도안정지역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셋째, 유형별 실현용적률과 물리적·비물리적 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저층주거, 노후도에 대해 공통적으로 부(-)의 영향관계가 있었으며, 밀도측면에서는 사업체수, 역세권·지구단위계획구역 면적, 업무용도 등, 용도측면에서는 고층주거·일반상업·업무용도, 필지규모 등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각 유형별 개발밀도 증가를 위한 관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land usechanges and influential factors of development densities of commercial areas in the Seoulmetropolitan area. For that, it carried out an analysis as follows ; First, this study generallyanalyzes characteristics of land use changes and development densities of commercial areasin Seoul from 2003 to 2010. Second, commercial area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reclassified with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density through the portfolio analysis.Third, to propose management directions, this study finds out the influencing factors tochange the development density through the PLS Regression Analysis.As a result of the analysis, from 2003 to 2010, residential uses increased and commercialuses decreased in commercial area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Realized floor area ratiolowed as well. types of commercial areas classified into Commercial uses growth areas,residential uses growth areas, Commercial uses stability areas and residential uses stabilityareas. Based on influential factors of development densities, managements in commercialareas considering the central place system is required.
URI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235365d1719a32f2ffe0bdc3ef48d419http://hdl.handle.net/20.500.11754/52847
ISSN
1225-905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