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7 0

이동성, 장소, 문화: 미디어공간으로서 서울의 정체성

Title
이동성, 장소, 문화: 미디어공간으로서 서울의 정체성
Other Titles
Mobility, Place and Culture : Urban Identity of Seoul as Media Space
Author
김수철
Keywords
도시 정체성; 이동성; 장소성; 다문화도시; 지역문화; urban identity; mobility; placeness; multicultural city; local culture
Issue Date
2014-11
Publisher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Citation
문화와 정치 제1권 제2호, 2014.11, 125-147
Abstract
이 논문은 이동성, 장소, 문화의 관계 변화를 통해서 형성되는 서울의 정체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는 논문이다. 서울을 하나의 미디어공간으로서 재조명함으로써 도시 서울의 지역적 정체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이 논문은 이동성(mobility) 개념에 대하여 살펴본다. 여기서 이동성이란 존 어리(John Urry)가 주장하듯이 공간적, 시간적, 물질적인 개념으로 이는 단지 사람들이 어떤 주어진 환경에서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어떻게 움직이는 방식에 관여될 뿐만 아니라 또한 이러한 이동을 통해서 자연, 풍광, 도시, 공동체와 같은 환경들이 세워지고 사용되며 또한 미학적으로도 인식되고 감상되는 방식과도 연관된다. 이동성이 변형되고 패턴화되고 또한 가속화되거나 저지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사회문화적 규범들 또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이동성은 한 지역의 자연환경적, 물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고유한 사회문화적인 규범과 질서의 형성과정을 역사적으로 조명해 줌으로써 한 지역, 도시의 정체성을 가늠할 수 있게 해주는 유용한 개념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서울수도권의 역사는 교통과 커뮤니케이션 인프라가 집중적으로 형성되어온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동성으로 바라본 현대 서울수도권의 정체성은 첫째, 공간적 이동성과 미디어(가상) 이동성의 공간이다. 특히 공간적 이동성의 공간으로서 서울수도권 지역은 도시 교통망(도로망과 철도망)과 정보통신망이 가장 밀집된 지역이며 일상생활에서의 물리적 이동이 매우 높은 장소이다. 둘째, 서울수도권 지역은 이주자들의 공간, 다문화공동체의 공간이다. 서울수도권 지역은 한국에서 국내 이주자(다문화가족 및 결혼이민자) 인구가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이다. 마지막으로, 서울수도권 지역은 서울을 중심으로 하는 물리적 이동성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이에 따라서 개인주의적 성향 및 지역 간 문화적인 단절 및 극단적으로 다양화된 생활 문화적 특징을 보여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 결론에서 서울수도권의 정체성 형성과정에서 공공미디어의 역할에 대하여 토론한다.This paper intends to discuss the urban identity of contemporary Seoul as a mobile city. First of all, this paper discusses the concept of mobility as a theoretical tool that is useful in examining the identity of contemporary Seoul as a media-city. As John Urry argues, mobility pertaining a spatial, historical, and material process through which urban city is shaped and reshaped, can shed lights on not only how people move from one place to another under the given circumstances, but also, through this movement, how city in terms of its landscape, physical environment, communities, social norms, etc. can be established, used and aesthetically appreciated. In this aspect, the history of modern Seoul is a history in which infrastructures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s are built and reshaped.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contributing to the construction of Seoul’s urban identity as a mobile city. First of all, Seoul is a space of physical and media(virtual) mobility. Within the metropolitan city of Seoul including the city of Seoul and Kyeonggi province, there is a highly dense network of transportation- including roads and railways-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Second, Seoul including Kyeonggi province is a place of migrants and multicultural communities. This area has the most number of migrants in South Korea. Finally, Seoul has a highly individualist and heterogeneous living patterns and local cultures as residents in this area constantly tend to move around for many reasons ? such as their work, education, business, etc. In conclusion, there will be a discussion on the role of public media in the construction of urban identity of Seoul in the age of glocalization.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095152http://hdl.handle.net/20.500.11754/52748
ISSN
2289-0637
Appears in Collections:
RESEARCH INSTITUTE[S](부설연구소) > HANYANG PEACE INSTITUTE(평화연구소)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