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4 0

안면 관련 ‘무조건반사 어휘’의 형태사에 대한 연구

Title
안면 관련 ‘무조건반사 어휘’의 형태사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Remarks on the Etymology of the Words in Conjunction with an Unconditioned Reflex in Face
Author
신중진
Keywords
무조건반사; 내적 구조; 파생어; 재구; 어원; unconditioned reflex; internal structure; derivative word; reconstruction; etymology
Issue Date
2013-04
Publisher
진단학회
Citation
진단학보, Apr 2013, 117, P.215-234
Abstract
안면 관련 ‘무조건반사 어휘’인 ‘트림, 하품, 기침, 기지개, 재채기’는 모두 고유어들이며, 또한 기원적으로 단일어가 아니라 파생어이다. ‘트림’은 [[[트/타-V+-을/알-S]V+-이-S]V+-ㅁS]N으로 최종 분석된다. ‘*트리-V’는 ‘수그리-(<숙-+-을-+-이-)), 우그리-(<욱-+-을-+-이)’처럼 동사 어간에 ‘-을/알-’이 결합되고 다시 통사 범주를 바꾸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는 ‘-이-’가 결합된 결과의 재구형이다. ‘하품’의 최고형인 ‘하외욤’이 [*하외-V+[-오-+-ㅁ]S]N의 내적 구조이다. ‘하품’은 기원적으로 ‘*habh?i-’나 ‘*haß??i-’ 정도에서 온 ‘*하외-’라는 어간에서 형성된 파생어이다. 그러나 ‘*하외-’라는 어간이 사어가 되면서 ‘하외욤’에 ‘-하-’가 통합한 ‘하외욤하-’가 그 지위를 계승하다가 오늘날 ‘하품하-’라는 동사가 생긴 것이다. ‘기침’의 최고형인 ‘기춤’은 [?-V+[-우-+-ㅁ]S]N의 내적구조에서 발달한 무조건반사 어휘이다. ‘지기게’의 내적구조는 [[*기지-]V+-게S]N 혹은 [[*기직-]V+-(게>)에S]N이며, 일차적으로 동사 어간 ‘*기지-’ 혹은 ‘*기직-’을 재구할 수 있겠다. 그 방언형을 고려하면 [[*기직-]V+-(게>)에S]N일 가능성이 더 높다. ‘재채기’의 최고형인 ‘자채욤’은 [*자채-V+[-오-+-ㅁ]S]N의 내적 구조를 갖는다. 이로써 우리는 동작동사로서 ‘*자채-’라는 어간이 문증되지는 않지만, 그 이전 시기에는 존재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In conjunction with an unconditioned reflex in face, ‘트림(burp), 하품(yawn), 기침(cough), 기지개(stretch), 재채기(sneeze)’ are all native tongues. And they are not simple words but derivative words etymologically. Consequential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what has been discussed, I could conclude that as a result, ‘트림(burp)’ had derived from the internal structure of [[[트/타-V+-을/알-S]V+-이-S]V+-ㅁS]N etymologically. ‘하품(yawn)’ showing evolution from ‘하외욤’ had derived from the internal structure of [*하외-V+[-오-+-ㅁ]S]N etymologically. In conjunction with an unconditioned reflex ‘기침(cough)’ had derived from the internal structure of [?-V+[-우-+-ㅁ]S]N etymologically. In conjunction with an unconditioned reflex ‘기지개(stretch)’ had derived from the internal structure of [[*기지-]V+-게S]N or [[*기직-]V+-(게>)에S]N etymologically. We could reconstructed verb stem as ‘*기지-’ or ‘*기직-’ primarily. Finally ‘재채기(sneeze)’ showing evolution from ‘자채욤’ had derived from the internal structure of [*자채-V[-오-+-ㅁ]S]N etymologically. We hereby could reconstructed dynamic verb stem as ‘*자채-’.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2162480http://hdl.handle.net/20.500.11754/52541
ISSN
1013-471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S](인문과학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