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 0

장소성 인식 특성이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학로 문화지구를 대상으로 홍대지역과 비교 분석

Title
장소성 인식 특성이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학로 문화지구를 대상으로 홍대지역과 비교 분석
Other Titles
Effects of Placeness Cognition Characteristics on Behavioral Intentions - The Case of Hongik University Area and the Cultural District of Daehakro Street in Seoul
Author
최창규
Keywords
장소성; 장소 애착; 행동 의도; 대학로; 홍대지역; 구조방정식 모형; Placeness; Place Attachment; Behavioral Intention; Daehakro Street; HongikUniversity A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sue Date
2013-04
Publisher
한국도시설계학회
Citation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Apr 2013, 14, P.113-126
Abstract
본 연구는 강도원?최창규(2012)가 개발한 장소성 인식 인과구조 모형의 보편성을 검증하고, 대학로를 대상으로 장소성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대상지 이용자 특성별로 장소성이 방문자들의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 구조를 분석하고, 강도원?최창규(2012)의 홍대지역에 대한 연구 결과와 비교?분석을 통해 장소성이 행동 의도에 미치는 인과구조 모형 및 연구가설의 보편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장소성이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 모형의 보편성을 부분적으로 확인하였다. 대학로와 홍대지역의 모든 집단에서 장소성이 장소애착(H1)과 장소애착이 행동 의도(H3)에 미치는 경로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장소성에 대한 인식의 정도 차이에 따라서 경로구조 모형의 변형이 확인되었다. 대학로의 단순 소비 집단은 다른 집단들과는 다르게 대학로를 공연문화 장소로 인식하지 않았으며, 이에 따른 경로구조 모형의 변형이 확인되었다. 셋째, 지역마다 장소성 소비자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홍대지역의 단순 소비 집단은 ‘장소성’을 강하게 소비하고 있으나, 대학로의 단순 소비 집단은 지역 내 다른 두 집단과는 달리 대학로의 문화예술 장소성을 인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causality model of placeness cogni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by Kang & Choi (2012). On Daehakro street in Seoul known for performances, theaters, and troupes in its cultural district, this article analysed the causality models of three different groups visiting the street,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e ones of Hongik University areas by Kang & Choi(2012). By building and analyzing the path model of placeness and behaviors on the cultural street, this study could show three results as followings. First, it supports the validity of theoretical model 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on of placeness and visitors? behavioral intention by Kang & Choi(2012) to some extent. Second, the differences on cognition of placeness by diverse user groups could alte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imple consumer group in Daehakro street does not recognize the cultural aspects of the street, although the other groups are aware of the placeness. Third, placeness consumers in Daehakro street are different from the ones in Hongik University areas. The simple consumer group in the latter place perceives and enjoys placeness, but the similar group in the former district does not.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2165850http://hdl.handle.net/20.500.11754/52494
ISSN
1598-0650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