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구자훈-
dc.date.accessioned2018-03-26T06:47:11Z-
dc.date.available2018-03-26T06:47:11Z-
dc.date.issued2013-08-
dc.identifier.citation국토계획, Aug 2013, 48(4), P.19-3, 13P.en_US
dc.identifier.issn1226-7147-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Article/NODE02241114-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20.500.11754/52471-
dc.description.abstract한정적인 에너지와 자원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자연을 보존하며 쾌적한 도시공간을 조성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도시의 목표라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대안 중 하나로 대중교통지향형 개발(이하 TOD, TOD: Transit-Oriented Development)이 등장하였다. 역세권은 역을 중심으로 접근성에 변화가 생기면서 토지이용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통행행태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통행행태는 통행수단, 통행거리, 통행시간 등 사람들의 행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데, 이러한 통행행태는 통행목적에 따라 일정한 패턴을 갖게 된다. 이처럼 역세권의 토지이용특성은 통행목적에 의한 통행패턴에 영향을 주게 되며, 따라서 토지이용과 교통체계의 상호작용 관계 속에서 이들의 적절한 조화를 통해 효율적ㆍ합리적 토지이용은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서울시는 1960년대 이후로 다핵화 전략을 추진해왔으며, 1990년대 들어서 역세권 개발 개념을 도입하여 역세권을 중심으로 고밀의 토지이용을 유도하는 전략을 추진해 왔다1). 하지만 서울과 같이 이미 고밀화된 도시에서는 고밀전략만으로 TOD의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대중교통 기반시설 여건은 좋으나 단일용도 토지이용 특성으로 특정시간대의 혼잡도가 높은 경우, 혹은 고밀개발이 요구되나 대중교통 기반시설 용량의 한계로 추가개발이 어려운 곳에서는 토지이용의 복합화 전략을 통해 혼잡 완화 및 대중교통이용률 향상을 통한 TOD의 효과적 실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시철도 역세권을 대상으로 토지이용특성에 따른 도시철도 이용패턴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의 상호 관련성을 밝혀보고자 한다. 특히 도시철도 이용에 있어서 시간대별 이용패턴 특성과 토지이용 복합특성과의 연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역세권 개발의 복합화 전략을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Many countries focuses on sustainable development to use resources and energies efficiently, to reduce carbon emission, and to minimize side effects of urban sprawl such as car increase, improper development, waste from infrastructure expansion, etc. As a part of realization, studies on TOD are going on and Seoul accepts its structure has to be reorganized into TOD system. Seoul, which has one of the well-construct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in the country, has to adopt the mixed land-use development rather than the additional development because its development density is already very high. This study categorized the type of land-use of subway station areas and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ixed land-use by the types and the railway use pattern by time. The result is that there exis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the railway use patterns in peak time and non-peak time are related to the land-u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supposed to be the basic research for the realistic transit-oriented development and management, and for the future rational mixed-use strategies.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2012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0-0029454).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en_US
dc.subject대중교통지향형개발en_US
dc.subject토지이용복합특성en_US
dc.subject도시철도이용패턴en_US
dc.subject첨두시간대en_US
dc.subject상관분석en_US
dc.subjectTransit-Oriented Developmenten_US
dc.subjectMixed Land-Use Characteristicsen_US
dc.subjectTime-Based Patterns of Usersen_US
dc.subjectPeak Houren_US
dc.subjectCorrelation Analysisen_US
dc.title토지이용 복합특성과 시간대별 도시철도 이용패턴의 상관관계 연구en_US
dc.title.alternativeRelationship Between Mixed Land-Use Characteristics and Time-Based Patterns of Subway Users - Focused on the Surrounding Areas of Seoul Subway Stations -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4-
dc.relation.volume48-
dc.relation.page19-31-
dc.relation.journal국토계획-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주아-
dc.contributor.googleauthor조무상-
dc.contributor.googleauthor구자훈-
dc.contributor.googleauthorLee, Joo-Ah-
dc.contributor.googleauthorCho, Moo-Sang-
dc.contributor.googleauthorKoo, Ja-Hoon-
dc.relation.code2012210709-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ENGINEERING[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
dc.identifier.pidjhkoo-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