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3 567

케톤뇨의 임상적 유용성의 평가

Title
케톤뇨의 임상적 유용성의 평가
Other Titles
Evaluation of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Ketonuria
Author
박일규
Keywords
Ketonuria; Urine ketone; Diabetic ketoacidosis
Issue Date
2012-12
Publisher
대한진단검사의학회
Citation
Laboratory Medicine Online, 2012, 2(1), P.15-19, 5P.
Abstract
배경: 요케톤검사는 주로 당뇨병케톤산증의 선별검사로 쓰인다. 케톤뇨는 당뇨병케톤산증 이외의 다양한 질환에서도 양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케톤뇨를 보이는 환자 중 당뇨병케톤산증이 차지하는 비율은 아직 알려진 바 없다. 이에 저자들은 요케톤검사의 양성비율과 양성을 보이는 환자들의 특징을 알아보고또한 당뇨병케톤산증이 차지하는 비율을 추측하여 요케톤검사의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원을 방문한 성인 환자 1,314명과 소아 환자 1,027명 중 요화학검사를 시행한 모든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요케톤 양성률을 성인과 소아에서 각각의 응급실, 외래, 입원 등의재원 형태에 따라 분류하였고 요케톤 검사 결과와 요단백, 요당, 그리고 빌리루빈 검사 결과와의 관계를 서로 비교하였다. 결과: 케톤뇨의 전체 양성률은 9.1%이었고 성인과 소아의 요케톤양성률은 각각 4.3%, 15.2%였다. 응급실에서의 성인과 소아의 요케톤 양성률은 각각 9.7%, 28%로 재원형태 중 가장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 전체 케톤뇨 환자 중 성인의 7%, 소아의 3.8%에서 요당양성을 보였다. 결론: 케톤뇨 환자에서 재원형태와 요당의 존재를 근거로 추측한당뇨병케톤산증의 유병률은 비교적 낮게 관찰되었고 케톤뇨는 당뇨병케톤산증보다는 급성질환, 중증 질환 등 다른 질환과의 연관성이 더 클 것을 시사하였다. 그러므로 요케톤검사를 당뇨병케톤산증의 지표로만 평가하지 말고 급성 중증 질환을 가진 환자를 선별하는 지표로서 이용한다면 충분한 임상적 유용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Background: Urine ketone test is commonly used to screen for diabetic ketoacidosis (DKA). Ketonuria also develops in patients with disease conditions other than DKA. However, the prevalence of DKA in patients with ketonuria is not known.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ketonuria and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ketonuria and estimated the prevalence of DKA among them to study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ketonuria as an indicator of DKA. Methods: We studied 1,314 adult and 1,027 pediatric patients who underwent urinalysis. The prevalence of ketonuria in the different groups of patient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ir visits to the institution, was investigated,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ketonuria and albuminuria, glycosuria, and bilirubinuria were evaluated. Results: The overall prevalence of ketonuria was 9.1%. The prevalences of ketonuria in adult and pediatric patients were 4.3% and 15.2%, respectively. The prevalences of ketonuria were the highest in the adult (9.7%) and pediatric (28%) patients in the group that had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Among patients with ketonuria, 7% adult and 3.8% pediatric patients showed glycosuria.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evalence of DKA in patients with ketonuria, defined as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ketone bodies and glucose in urine, was only 7%. Therefore, we concluded that ketonuria might be clinically significant as an indicator of acute or severe disease status rather than of DKA.
URI
https://synapse.koreamed.org/DOIx.php?id=10.3343/lmo.2012.2.1.3http://hdl.handle.net/20.500.11754/50294
ISSN
2093-6338
DOI
10.3343/lmo.2012.2.1.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S](의과대학) > MEDICINE(의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lmo-2-15.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