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 0

예술창작공간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Title
예술창작공간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ublicness of Artistic Creative Space - Focused on Seoul Art Space -
Author
신경주
Keywords
서울시창작공간; 공공성; 문화공간; Seoul Art Space; Publicness; Cultural spaces
Issue Date
2012-12
Publisher
한국실내디자인학회
Citati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12, 21(6), P.35-45, 11P.
Abstract
전 세계적으로 문화의 경제적 가치에 주목하게 되면서 문화예술을 통하여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시행하고 있다. 그 구체적인 방법의 하나로 유휴시설을 활용한 문화공간 조성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창작공간의 건축적 공공성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여, 창작공간의 시설적인 개선 및 추후 조성될 창작공간의 계획 시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현재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서울시창작공간8곳을 대상으로 사례조사를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추출한 5가지의 건축적 공공성 요소( 접근성, 개방성, 쾌적성, 맥락성, 체류성)를 기초로 분석틀을 설정하여 대상시설의 분석 후 점수화를 통하여 각 창작공간에서 나타난 공공성을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서울시창작공간에서 공공성 요소는 체류성이 합계 64점(64점이 100%임)으로 제일 높았고, 다음이 쾌적성 61점, 접근성 58점, 개방성 47점, 맥락성 40점 순으로 낮아졌다. 따라서 개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은 유리재료사용, 공간의 개방을, 맥락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은 장소나 지역에 맞는 테마 설정 후 건물의 기능을 정하여 차별화를 하도록 한다.As the importance of economic value of culture has increased, governments have set a strategy to secure 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cultural art. One of concrete ways is establishing a cultural space by using idle faciliti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publicness of Seoul Art Space, suggest ways to improve the facilities of creative space and provide basic date for the further plan of creative spac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8 facilities from Seoul Art Space which is operated by City of Seoul. Through literature review, we extracted 5 elements(each element has 4 sub categories) for publicness(accessibility, openness, convenience, historical connectivity and stay time) and to evaluates publicness of the Seoul Art Space, we analyzed these facilities based on these ele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ublicness of Seoul Art Space acquired 96.9%(100% is 64 points) for stay time, 95.3% for convenience, 90.6% for accessibility, 73.4% for openness and 62.5% for historical connectivity. For the openness, we suggest to use glass materials and open the space to the public. To improve historical connectivity, we suggest to determine appropriate theme for a particular space or area and set a function of buildings for the differentiation.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31795http://hdl.handle.net/20.500.11754/50292
ISSN
1229-7992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 ECOLOGY[S](생활과학대학)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