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4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석은-
dc.date.accessioned2018-03-20T00:27:48Z-
dc.date.available2018-03-20T00:27:48Z-
dc.date.issued2014-12-
dc.identifier.citation한국행정연구, 2014, 23(4), P.89-112en_US
dc.identifier.issn1226-797X-
dc.identifier.uri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46524-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20.500.11754/4916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비영리부문의 성장에 미치는 사회자본의 역할을 경험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증하는 데 있다. 종속변수는 서울시 비영리민간단체 등록 대장에서 2007년부터 2012년까지 6년에 걸쳐 등록된 비영리민간단체의 수를 각 25개 구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사회자본은 자발적모임, 자치구정부에 대한 신뢰도, 자원봉사자등록률, 노동조합의 수로 측정하였다. 통제변수로는 비영리부문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다섯 가지 사회적 요인-대학진학률, 인구밀도, 조이혼률, 인구이동, 국민기초생활수급자수-과 네 가지 경제적 요인-사회보장비, 정부보조금, 재산세, 기부율-을 사용하였다. 데이터는 서울서베이, 자치구 통계연보, 서울통계, 국민권익위원회, 통계청 e-나라지표, 서울교육청 통계연보에서 추출하였다. 패널분석결과 자원봉사활동과 노동조합활동 등 사회자본이 유의미하게 비영리부문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최소한 서울시 비영리조직은 경제적 요인보다 사회적 수요 요인에 의해 더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본 논문은 2013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3S1A5A8022924).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행정연구원en_US
dc.subject비영리부문의 성장en_US
dc.subject사회자본en_US
dc.subject패널 분석en_US
dc.title한국의 비영리부문 성장에 대한 이해: 사회자본의 역할 분석en_US
dc.title.alternativeUnderstanding the Growth of the Nonprofit Sector in Korea: An Analysis of the Role of Social Capital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4-
dc.relation.volume23-
dc.relation.page89-112-
dc.relation.journal한국행정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석은-
dc.contributor.googleauthor안영찬-
dc.contributor.googleauthorKim, Seok-Eun-
dc.contributor.googleauthorAn, YoungChan-
dc.relation.code2014000952-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POLICY SCIENCE[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dc.identifier.pidseokeun-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POLICY SCIENCE[S](정책과학대학) > PUBLIC ADMINISTRATION(행정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