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5 0

교육공학 교과 이미지에 대한 초심자와 전문가의 지각 차이 분석

Title
교육공학 교과 이미지에 대한 초심자와 전문가의 지각 차이 분석
Author
차현진
Keywords
교육공학; 학문적 정체성; 교과 이미지; 의미분석법; Educational Technology; Disciplinary Identity;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Issue Date
2014-12
Publisher
한국교육공학회
Citation
교육공학연구, 2014, 30(4), P.589-619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공학에 입문하는 초심자(novice)인 학생 집단과 전문가 집단이 가지고 있는 교육공학 교과 이미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여, 교육공학 교과목의 교육방향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Osgood(1957)이 제안한 의미분석법을 이용하여 30명의 전문가와 12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수행한 후 이를 분석하여 두 집단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시각화하고, t검증 방식으로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이 교육공학 교과목에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이미지는 ‘가치 있고’ ‘필요한’이면서 ‘실용적인’ 학문이며, 전반적으로 ‘신뢰할 수 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개방적’이고 ‘새로운’ 학문으로 여기면서도 ‘복잡하고’ ‘전문적’이면서 ‘고차원적인’ 학문이라는 이미지에서 높은 평균점수를 보여 주었으나, ‘능숙한’ ‘명백한’ ‘융통성이 있는’, ‘무난한’ ‘집중적인’과 같은 형용사군에서 전반적으로 두 그룹 모두 낮은 평균점수를 보여 주었다. 이는 전문가들조차도 교육공학이라는 교과 이미지를 복잡하고 무난하지 않으며 집중적인 학문으로 확신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향후 각자의 영역에서 교육공학을 활용할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부정적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교육방법 및 교육 방향 설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두 집단 간 차이점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전문가 집단이 학생 집단보다 교육공학 교과목에서 더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는 학생들이 교육공학 교과목에 대해 좀 더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나 방법을 준비하고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능력요인의 이미지에서 가장 두드러진 집단 간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학생들이 교육공학에 좀 더 자신감을 가지고 친숙하게 실행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참여와 활용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This study aims to derive ideas about instructional planning and strategies of educational technology discipline by identifying common and different aspects between experts group and students as a novice group in an image of the field. To achieve this objectiv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0 experts and 128 students for the novice group by using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suggested by Osgood.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rvey data, the image of the field and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visualized and statistically evaluated with t-test. From the results, the similarity and disparity between two groups were analyzed. The implications founded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wo groups commonly think that the educational technology is ‘credible’, ‘valuable’, ‘necessary’ and ‘practical’. They also have a positive image that the nature of the field is ‘complicated’, ‘professional’, and ‘high-level’ as well as ‘open’ and ‘new’. However, both groups have negative images that it is not ‘capable’, ‘obvious’, ‘flexible’, ‘easy’, and ‘focusing’. Therefore, when educational technology courses are designed, experts and instructors should plan to concretize student's positive image and to deal with their negative image by understanding students' image from this study. Secondly,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many images. The expert group has much more positive image than the novice group, so instructors and course designers made efforts to address the gap between two groups, for example, through instructional planning and strategies based on understanding of students' affective identity on the educational technology. In particular, activities which provide opportunities to feel confidence on and familiar with the discipline should be designed, and more practical tasks should be given during the class.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40669http://hdl.handle.net/20.500.11754/49160
ISSN
1225-424X
DOI
10.17232/KSET.30.4.58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