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6 0

한국어교육을 위한 시조의 활용 가능역 연구

Title
한국어교육을 위한 시조의 활용 가능역 연구
Author
류수열
Keywords
시조; 한국어교육; 정형시; 시조 형식; 강호가도; 한국문화; 낭송; sijo; Korean language education; fixed verse; forms of sijo; literature of nature-friendly mood; Korean culture; recitation
Issue Date
2014-12
Publisher
한국문학교육학회
Citation
문학교육학,Vol.45 No.- [2014],213-237(25쪽)
Abstract
이 연구는 시조를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로 나누어 한국어교육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역을 설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시조가 외국어 교육에서 문학을 활용할 때 적용되는 세 가지 교육 모델인 문화 모델, 언어 모델, 개인적 성장 모델 중 어떤 모델에서도 충분히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갈래임을 논증하였다. 시조의 본질에 대한 이론적 성과를 수용하면서, 한국어 학습자로서 한국어와 한국문학, 한국문화를 통합적으로 교수-학습할 수 있는 방안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시조의 정형시적 성격을 존중할 때, 먼저 초·중·종장이 대상-관계-의미라는 시상 전개 구조를 지닌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면 이것이 한국적 사고의 틀이면서 동시에 문화의 틀로서 지니는 의미가 주목된다. 그리고 문장 단위의 한 수사적 자질인 aaba 구조에 주목하여 그것이 한국문학에서 하나의 통사적 원형임을 강조하였다. 또 형식으로 인해 도치가 일어나는 사례를 통해 형식과 문장 구조의 관계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시조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어교육을 설계하고자 한다면, ‘강호’나 ‘청산’ 등 시조에 자주 등장하는 주제소가 지니는 문화적 의미에 천착할 필요가 있다. 1차적 기의를 넘어 사대부적 세계관의 소산으로서 이상향이라는 2차적 의미를 가지게 되므로 단순히 사전식의 뜻풀이를 넘어서는 문화적 함축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시조가 우리의 보편적 심성을 담고 있는 장르라는 점에 주목하여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접근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usefulness of sijo in the aspect of forms and contents in the Korean Education. For this aim, I preferentially demonstrated the role of sijo in three model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culture model, language model and personal growth model and argued about the way how to teach integrally Korean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with. By considering the character of sijo as a fixed verse, I firstly attended the fact that three paragraph is the correspondence of object-relation-meaning(ORM). It seems that object-relation-meaning is the frame of thinking and culture. It is important that the fact that the aaba organization of sijo diction accord with form of sijo when Korean teacher use sijo at Korean classroom. And I suggested the way how to use the relation of forms and sentence structure. When Korean education is designed by concentrating the contents of sijo, it is necessarily considered that the meaning of poetic words of sijo tend to be used with second meaning through the significance in the discourse community. Furthermore, sijo can be approached on the view of culture comparison because it has universal mind or emotion of Korean.
UR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297015http://hdl.handle.net/20.500.11754/49147
ISSN
1229-487x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KOREAN LANGUAGE EDUCATION(국어교육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