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6 0

도시 그린인프라 확충에 따른 탄소저감 증진효과 분석: 서울시를 대상으로

Title
도시 그린인프라 확충에 따른 탄소저감 증진효과 분석: 서울시를 대상으로
Other Titles
Analysing Effects of CO2 Absorption Capability through Enhanc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in Seoul
Author
오규식
Keywords
기후변화; 그린인프라; 이산화탄소 흡수; 도시계획시설; Climate Change; Green Infrastructure; Carbon Dioxide Absorption; Urban Infrastructure
Issue Date
2014-12
Publisher
한국도시행정학회
Citation
한국도시행정학보, 2014, 27(4), P.1-23
Abstract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인 온실가스 발생을 저감하기 위한 노력이 국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대체에너지의 개발 및 사용, 에너지 사용효율을 높이거나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과 같이, 인간생활에 직접적인 변화를 주는 대안들이 주로 거론되고 적용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반해, 그린인프라를 통한 이산화탄소의 저감은 인간활동에 대한 변화가 수반되지 않으면서 동시에 이산화탄소의 흡수가 가능한 방법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녹지를 통한 어메니티의 증진까지 함께 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신규로 도입이 가능한 그린인프라 유형을 선정하고, 그린인프라를 확충했을 시 이산화탄소의 흡수량이 얼마나 증진될지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 그린인프라와 신규로 추가된 그린인프라 요소를 모두 포함하여 분석한 결과, 그린인프라를 통한 이산화탄소의 흡수량은 약 2.2% 증가하였으며, 지역적으로는 주로 넓은 면적의 산림이 포함되는 서울 외곽의 자치구들이 높은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보인 반면, 도시 내부에 위치한 자치구들은 그린인프라를 통한 이산화탄소의 흡수량이 현저히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낮게 나타나는 자치구들에서는 새로운 유형의 그린인프라를 도입을 통해 그린인프라를 확충함과 동시에, 수목밀도의 증가, 수종의 변경 등과 같이 기존 그린인프라의 질적인 구성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There have been a number of efforts to reduce the emission of GHGs(Green House Gases) which is the fundamental cause of climate change. However, there are limitation to adopt the representative measures including alternative energy sources development, the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of products and energy use minimization, because those change and regulate the human life style. On the other hand, the absorption of CO₂ by green infrastructure can not only cope with the climate change but also enhance the amenity without the change of life style. Therefore, the effect of green infrastructure on CO₂ absorption is analysed in this study. The CO₂ absorption of newly adopted green infrastructure increases 2.2%, and the outskirt areas where are huge mountains show remarkable CO₂ absorption than the areas inside of Seoul. It means that the areas inside of Seoul need to introduce new type of green infrastructure and improve the quality by changing the species and increasing the density of trees to respond to the climate change more efficiently.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218998http://hdl.handle.net/20.500.11754/49059
ISSN
1598-8686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