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1 0

중년여성의 성공적인 노화인식과 우울

Title
중년여성의 성공적인 노화인식과 우울
Other Titles
Perception for Successful Aging & Depression of Middle Aged Women
Author
김분한
Keywords
Successful aging; Depression; Middle aged women; Perception
Issue Date
2012-12
Publisher
한국생활환경학회
Citation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012, 19(2), P.259-266, 8P.
Abstract
과학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증가하고 중년기가 길어지고 있다. 이에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중년여성이 생각하는 성공적 노화인식의 중요차원을 살펴보고, 중년여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 노화인식과의 차이를 검증하며 성공적인 노화인식과 우울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중년여성의 성공적인 노화를 지원하기 위한 연구가 매우 필요 하다.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인식과 우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서, 연구도구로는 최혜경(2005)이 '성공적인 노화' 에 대한 연구 설문자료에서 사용된 총 83문항을 최인영(2007)이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추출한 33개의 정련 화된 문항을 사용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도구는 '개인성장', '건강과 경제', '의미추구', '가족의 안녕', '중용', '과시성'의 여섯 가지 차원으로 분류되고, 5점 Likert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성공적인 노화를 이루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여기는 것을 의미한다. 우울은 Zung(1965)의 '자가 평가 우울척도'를 송옥헌(1977)이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경기지역 2개시에 거주하는 40 ~ 59세 이하의 중년여성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204부를 회수 하였으며, SPSS WIN 12.0을 이용해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인 중년여성의 연령은 40대가 81.9%였으며, 결혼 상태는 기혼이 94.6%로 가장 많았다. 가족은 핵가족 84.8%, 종교는 개신교 51%, 최종학력은 대졸이상 60.8%, 직업 상태는 계속취업상태 46.6%로 나타났다. 월평균소득은 200~400만원 사이가 55.4%를 차지하였으며, 주 소득원은 배우자의 소득이 81.9%, 생활만족이 보통 49.0%였다. 건강상태는 보통53.9%, 좋음 34.3%, 나쁨 11.8% 로 나타났다. (2) 중년여성의 성공적인 노화인식의 가장 중요한 차원은 '가족의 안녕'(평균 4.55±.45)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건강과 경제'(평균 4.4±.49), '의미추구'(평균 4.26±.53), '중용'(평균 4.23±.61), '개인성장'(평균 4.03±.50), '과시성'(평균3.34±.67)의 순으로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중년여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인 노화인식의 차이검증 결과, '개인성장'은 종교, 가족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건강과 경제'는 평균소득과 가족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의미추구'는 종교,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가족의 안녕'은 가족형태와 결혼 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중용'은 종교, 가족형태, 생활만족, 건강상태, 주 소득원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과시성'의 경우 종교와 경제수준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우울 정도는 100점 만점으로 하여 평균 55.5 ±8.38 이었으며, 최소가 30점, 최대는 74점으로 나타났다. (5) 중년여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생활만족과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중년여성의 성공적인 노화인식과 우울과의 상관관계는 과시성을 제외한 나머지 개인성장, 건강과 경제, 의미추구, 가족의 안녕, 중용의 다섯 가지 영역이 우울과 역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년여성의 우울이 노년기의 성공적인 노화를 이루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했다. 이처럼 노년기의 성공적인 노화를 이루고 삶을 더욱 윤택하게 맞이하기 위해서는 중년여성의 우울은 반드시 중재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며,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간호중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 한다. 첫째,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배경의 중년여성으로 대상을 확대하여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를 이용한 반복연구를 시행할 것을 제언한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여성의 성공적인 노화를 이루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및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하며, 프로그램의 개발 시 중년여성의 우울에 대한 중재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그 대상이 되는 중년여성을 하나의 동일한 집단으로 여기고 그 안에서의 다양성이 존재함을 고려하지 않았으므로 중년전기와 중년후기로 나누어 그 특성을 살펴볼 것을 제언한다.Purpos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re importantly considered by the middle-aged women for successful aging and to enh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for Successful Aging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stud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upon the aged people between the ages of forty and fifty nine who reside in Kyunggi-Do, Korea. Two hundred four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it was analyzed by using SPSS WIN 12.0. Result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Perception for Successful Aging of Middle-aged women was ‘The Welfare of Family’, the second was ‘The Health and Economy’ the third was ‘The Pursuing for Meaning’, the fourth was ‘The Moderation’, the fifth was ‘The Individual Growth’, and the last was ‘The Showing Off’. Difference of the perception for successful aging and depress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The Welfare of Famil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arital status, living together and ‘The Health and Economy’ was living together, houshold income. ‘The Pursuing for Mean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religion, percieved health status and ‘The Moderation’ was living together, religion, life satisfaction. ‘The Individual Growt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living together, religion and ‘The Showing Off’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religion,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life satisfaction, percieved health status. The Correlation of the Perception for Successful Aging and the Depression has shown that there were negative-relation between the depression and the welfare of family, the health and economy, the pursuing for meaning, the moderation and the individual growth. Conclusion: Findings of this study that the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is significantly important factor for successful aging.
URI
http://www.dbpia.co.kr/Article/NODE01882715http://hdl.handle.net/20.500.11754/48393
ISSN
1226-128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NURSING[S](간호학부) > NURSING(간호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