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연보-
dc.date.accessioned2018-03-16T06:46:06Z-
dc.date.available2018-03-16T06:46:06Z-
dc.date.issued2014-04-
dc.identifier.citation페미니즘 연구, 2014, 14(1), P.115-152en_US
dc.identifier.issn1598-4192-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Article/NODE02399269-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20.500.11754/48007-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재생산과 관련된 여성의 몸인 난자, 배아, 제대혈 등이 줄기세포 연구 등 생명공학의 중요한 재료로 부상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를 둘러싼 몸에 대한 서로 다른 논의들을 검토함으로써, 신체물질 공여자 여성들에 대한 재현을 재구성하고자 시도하였다. 먼저 연구에 사용되지 않으면 버려진다는 논리의 ‘폐기물로서의 몸’이라는 접근은 몸의 사용을 정당화하고 공여자의 권리 및 기여도를 저평가한다. 반면 비판 담론들은 주류담론에서 간과되어왔던 여성의 몸과 건강이라는 맥락을 강조한 의미가 있으나, 그중 몸의 ‘소중함’을 기반으로 한 접근은 단수의 보편적, 생물학적 몸이라는 근대적 인식에 머물며, 수동적 ‘피해자’로서의 여성 이미지만을 강조하는 한계가 있다. 이렇듯 몸을 ‘폐기물’로 보는 관점과 ‘소중한 것’으로 보는 양극을 넘어서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재생 노동'(regenerative labor) 논의와 적극적 참여자로 ‘비전문가’들을 포착하는 논의를 검토하고, 신체물질공여자의 역할에 대한 인정과 몸의 ‘미결정성’ 개념에 주목할 필요성을 환기한다. 마지막으로 신체물질 공여자와의 인터뷰와 이들의 글들을 통해 수동적 피해자 재현을 넘는 다면적 행위성(agency)을 강조하면서, 기증 이후에도 계속 변화하는 몸의 활용방향과, 과학 연구방향에의 개입과 통제에 대한 이들의 관심에 관해 논의한다.Women’s reproductive tissues, such as eggs, embryos, and umbilical cord blood, have become important raw materials for biotechnological research, including stem cell research. As a result, this controversial issue has spawned two contested discourses: ‘body recycling’ versus ‘sacred body.’ In the discourse of ‘body recycling’, women’s reproductive tissues are figured as ‘waste’ that, instead of being discarded, are simply recycled. This stance legitimizes the use of reproductive tissues for research, while it undervalues donors’ contributions and rights. By contrast, critical approaches to biotechnology meaningfully portray such practices as violations of women’s body, and underscore the health risks to women which the ‘body recycling’ discourses have overlooked. However, in the discourse of ‘bodily integrity/sacredness,’ advocates rely on a modernist concept of ‘the body’ which is singular, essential, and universal, and often represent women as passive ‘victims’. Seeking to transcend these binaristic positions,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regenerative labor' and the studies of ‘donors’ as active participants. These approaches focus on both the recognition of donors’ contributions, and the unfixed future of bodily materials. The latter part of this paper discusses the multiple formations of donor agency, and agents’ various interests in intervening and thus controling, if only partially, scientific research.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연구는 2008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이다(NRF-2008-361-A00005). 이 연구는 박사논문의 일부를 바탕으로 추가적 연구를 통해 많은 부분을 추가 및 재구성한 것이다. 논문을 발전시키는 데 많은 도움이 된 코멘트를 해주신 익명의 논평자들께 감사드린다.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여성연구소en_US
dc.subject여성의 몸en_US
dc.subject생명공학en_US
dc.subject재생노동en_US
dc.subject미결정성en_US
dc.subject행위성en_US
dc.subject전문성의 정치en_US
dc.subjectwomen’s bodiesen_US
dc.subjectbiotechnologyen_US
dc.subjectunfixed futureen_US
dc.subjectagencyen_US
dc.subjectpolitics of expertiseen_US
dc.title여성의 ‘몸’과 생명공학 연구: 몸의 ‘미결정성’과 과학 연구에의 개입en_US
dc.title.alternativeWomen’s ‘Bodies’ and Biotechnological Research: The Unfixed Future of Bodily Materials and Donors’ Intervention in Scientific Research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1-
dc.relation.volume14-
dc.relation.page115-152-
dc.relation.journal페미니즘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Jeong, Yeonbo-
dc.relation.code2014001611-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RESEARCH INSTITUTE[S]-
dc.sector.departmentRESEARCH INSTITUTE OF COMPARATIVE HISTORY & CULTURE-
dc.identifier.pidjeongyb-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