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8 0

가로의 물리적 여건에 기초한 보행량 영향요인 분석

Title
가로의 물리적 여건에 기초한 보행량 영향요인 분석
Other Titles
The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Pedestrian Volume based on Physical Environment of Street - Focused on Main Commercial Street of Seoul -
Author
구자훈
Keywords
가로활성화; 보행량; 블록조직; 가로체계; 다중회귀분석; Activate Commercial Streets; Pedestrian Volume; Block Fabric; Street Syste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sue Date
2014-04
Publisher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orea Planning Association
Citation
대한국토계획학회지2014, 49(2), P.145-163
Abstract
지난 수세기간 산업화, 도시화 문제와 함께 우리나라 도시는 도시성장의 안정기에 들면서 신도시 개발 수요는 감소하고 도시재생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거주인구 감소 등 도심공동화 현상과 기성시가지 쇠퇴문제, 도시의 평면적 확산과 직장 원격화에 따른 통근시간 증대 및 환경오염 등의 문제로, 기존 기반시설여건이 좋은 기성시가지를 중심으로 새로운 변화와 수요를 담아내야 하는 도시계획적 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구자훈, 2011)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의 일환인 뉴어바니즘(New Urbanism), 스마트 성장(Smart Growth) 등의 새로운 도시계획 패러다임과 함께, 토지이용과 교통의 연관성을 강조하고 대중교통 중심의 복합적 토지이용과 보행친화적 교통체계 환경을 유도하고자 하는 TOD(Transit-Oriented Development)는 이를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 볼 수 있다. 보행은 그 자체로서 활동이고 운동이며 근본적으로 인간의 가장 오래된 교통수단으로 일정 목적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ㆍ필수적인 통행수단이다.(정창식, 1985. 재정리) 최근 대중교통 이용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보행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였고, 보행은 교통혼잡의 완화와 대기오염의 저감, 도시 활력과 범죄 예방, 그리고 개인의 건강유지 및 증진 등 다방면에서 그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도시에서 보행은 수동적으로 받아들여질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선택되고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도시의 환경이 보행활동에 바람직한 보행환경1)으로 개선되고 이러한 환경변화가 또다시 보행활동의 변화를 유발하게 되는 상호보완적 역할을 통해 궁극적으로 환경과 에너지, 지역사회와 경제, 개인의 건강과 삶의 질 측면에서 지속가능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보행환경 개선은 보행활동의 변화에 있어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특히 보행을 위한 물리적 환경조성은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적 요소로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서울시는 최근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으로 걷고싶은 거리 만들기 사업, 보행우선구역, 디자인 시범거리 등 다양한 시도들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 여건에 맞는 보행친화적 가로환경 조성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한 계획기법의 도입과 기존 도심에서의 도시조직 재편을 위한 관리방안 마련 등을 위해 가로의 물리적 환경 특성에 기초한 보행량과의 영향관계 규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주요 상업가로를 대상으로 가로의 물리적 여건에 기초한 보행량 영향요인을 실증분석을 통해 밝혀보고자 한다. It is important to make the pedestrian-friendly streets for qualitative satisfaction of ambulatory experience and street vitalization within commercial street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of street and pedestrian volume. The higher pedestrian volume goes with the higher building coverage ratio, the nearer distance to subway station, the wider sidewalk, the exclusive pedestrian road rather than shared pedestrian road; especially with regard to block organization and street system, the more regular type of block, the wider road, the more number of road intersection, the main road rather than the rear-side road; the higher commercial density, the lower residential density, and the street with small-sized commercial facilities concentrated together rather than the street with large-sized facilities located. This result represents that the pedestrian volume is high as the road width is wide and the accessibility to transportation is goo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organization such as regular-type block, wide choice of street due to road intersection instead of dead-end road, good road network, etc. can increase the pedestrian volume; that it is important to concentrate the small-sized commercial facilities instead of large-sized commercial facilities for the street vitalization.
URI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414293http://hdl.handle.net/20.500.11754/47892
ISSN
1226-714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