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2 0

조직공정성 유형별 불공정성 인식이 반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조직공정성 유형별 불공정성 인식이 반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Differential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Types on Response Behaviors(EVLN)
Author
손태원
Keywords
조직공정성;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정보공정성Organization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Informational Justice; EVLN
Issue Date
2014-02
Publisher
한국인사관리학회
Citation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2014, 38(1), P.25-67
Abstract
본 연구는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대인ㆍ정보)공정성 등 조직공정성 유형별 불공정성 인식이 각각의 반응행동들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불공정 인식시의 행동에 대해 하나의 변수만 고려하기 보다는 Hirschman 등의 EVLN 모형을 적용하여 각 공정성 유형들이 이탈(Exit), 항의(Voice), 충성(Loyalty), 태만(Neglect) 등의 반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분석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한국종합사회조사(KGSS)의 데이터 중에서 직장으로부터의 대우불공정에 대한 인식, 인사 관련 의사결정에 관한 인식, 인사정책 결정후의 조치 사항에 대한 인식, 불공정 대우시의 행동유형 등에 대한 설문이 공통적으로 이루어진 2000년과 2009년의 데이터를 비교 연구했다. 먼저 각 조직공정성 유형별, 특히 상호작용공정성과 대인ㆍ정보공정성에 대한 측정 방법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각 유형별 공정성인식과 반응행동인 EVLN의 측정방법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한 후 가설을 수립하고 요인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했다. 검증 결과 각 조직공정성 유형별로 EVLN에 미치는 영향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절차공정성은 대부분의 EVLN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는 점, 이탈행동은 분배불공정성인식과 특별한 관련이 있다는 점, 직접적 항의는 상호작용(정보)불공정성과는 부(-)의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는 점 등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사후분석을 통해 변수들간의 관계를 2000년과 2009년 두 시점에서 분석, 비교해 본 결과, 불공정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는 여전히 높지만 유형별 공정성 인식은 개선이 되고 있었다. EVLN에서도 '이직'이나 '노조를 통한 고발'의 경우는 각각 유의미한 수준에서 줄어들고 있었으며, 2009년은 2000년에 비해 '이직'보다는 '공식적 이의제기'를 더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들을 통해 조직ㆍ인사 관리에서의 시사점과 나아가 한국의 노사 정책 현황과 방향을 고찰해 본 점은 의의가 있다.
URI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3721822http://hdl.handle.net/20.500.11754/47350
ISSN
1229-352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BUSINESS[S](경영전문대학원)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