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1 0

고등학교 체육수업 무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검증

Title
고등학교 체육수업 무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검증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tudent Amotivation Scale in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Author
장형심
Keywords
value on the task; problematic relationship; task characteristics; Physical education amotivation; ability; effort
Issue Date
2012-04
Publisher
한국체육학회
Citation
한국체육학회지(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action), Jan 2012, 51(1), P.473-485, 13P.
Abstract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 근거하여 무동기를 구성하는 하위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무동기에 대한 다차원적인 개념을 실증적 자료를 통해 탐색하고 확인하여 국내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적합하고 적용 가능한 무동기 척도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차 연구에서는 개방형 질문지에서 수집된 체육수업 시 발생하는 무동기 자료의 내용을 분석했으며, 탐색된 제 총 60문항의 5요인을 산출하였다. 총 60문항이 담긴 무동기 측정 질문지를는 새로운 그룹의 고등학생(n=260)에게 배부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를 통해 각 문항과 하위요인에 대한 기술통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되었다. 2차 연구에서는 1차 연구에서 도출된 각 4문항들로 구성된 5요인 20문항이 담긴 새로운 무동기 척도를 또 다른 그룹의 고등학생(n=179)에게 실시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모형의 적합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탐색된 무동기의 제 5요인으로 등장한 문제관계가 무동기를 설명하는 또 다른 하위요인임을 검증하였다. 이에 최종 5요인 20문항의 체육수업 무동기 척도가 최종적으로 개발되었다. 본 척도에서 무동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하위요인은 신체활동의도와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아울러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들의 무동기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체육 수업상황에서 무동기 척도의 현장 적용가능성 및 활용방안과 미래 후속연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This article outlines the initial development of a multidimensional measure designed to assess students` amotiva-tion in Korean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PE). First, we asked high-school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PE classes about their experiences of amotivation so that we could generate a pool of items. In Study 1(n=260),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se items supported the hypothesized multidimensional amotivation construct with five dimensions: deficiency of ability, deficiency of effort, low value placed on the task, unappealing task characteristics, and problematic relationship. In study 2(n=179),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gain supported the factorial structure. The supported model comprised these same five factors. Further, each of the five factors correlated negatively with students` future intention toward physical activity, a finding that supports the predictive validity of both each individual factor and the scale overall. Regarding gender differences, females reported more amotivation than did males. The multifaceted nature of students` motivational deficits in PE classes, as represented by their amotivation scores, should be considered in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physical education.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038615http://hdl.handle.net/20.500.11754/46964
ISSN
1738-9666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EDUCATION(교육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