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1 0

묘회(廟會)에서의 춘절(春節) 표상화 과정

Title
묘회(廟會)에서의 춘절(春節) 표상화 과정
Author
한남수
Keywords
묘회; 춘절; 정체성; 표상화; 전통; 문화; 문화광장; temple fair; Chinese New Year; identity; representation; tradition; culture; cultural plaza
Issue Date
2014-08
Publisher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Citation
동아시아 문화연구 / Journal of East Asian cultures, 2014, 58, pp. 119-149(31쪽)
Abstract
개혁개방 이후 공원 묘회(廟會)에서의 춘절(春節) 재개는 전통문화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정부의 ‘문화만들기’에서 시작되었다. 북경의 지단(地壇)과 용담(龍潭) 공원이 묘회의 주요 개최지로 시범 운영되면서 춘절을 맞이하는 세태도 변화가 일어났다. 묘회는 춘절의 전통적 가치와 일상을 자연스럽게 융합시키고, 특정 공간을 향유하는 동력으로서 문화적 정체성을 강화한다. 때문에 묘회는 개인과 사회, 공동체 모두에게 춘절을 체현하고 발원하는 곳이다. 그러나 유구한 역사를 간직해 온 춘절이 신해혁명 이후 여러 정치.사회적 갈등으로 인해가치와 정서 그리고 전통적 유산들이 폄하되거나 파기되었다. 이로 인해 정부는 혁명의 실패를 만회하고자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기 시작했고, 문화정책에 실천적 의지를 표명했다. 1980년대중반 개방 정책 이후의 경제적 상황이 일정 부분 실효를 거두면서, 춘절도 정치적인 방벽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특히 1984년 북경의 용담공원과 1985년 지단이 춘절 묘회 개최지로 확정되면서 전통적 가치에 대한 문화적 의미가 강조되기 시작했다. 이 두 공간은 춘절 문화의 정서를 환기하고 문화적 정체성을 회복하는 통로로 시민의 지지를 받았다. 오랜 기간 춘절은 내전과 정치적 불협화음으로 위기에 봉착했고, 시민의 나눔과 교류가 부재한 채 정치적 교화의 장으로 변질되었다. 정부는 이 같은 정치적 현실을 만회하기 위해 전통문화의 회복을 서둘러야 했다. 그런 의미에서 북경 공원 묘회의 탄생은 춘절이란 민족적 정서를 공고히 하고 동시대의 전통적 가치를 회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사례가 아닐 수 없다. 공원 묘회에서의 춘절의 재개는 단절된 과거로부터 전통 문화의 상흔을 회복하고, 문화를 향유하는 주체자로서 시민을 중시하는 첫 단계로 의미를 지닌다. 때문에 공원에서의 묘회의 개방은 일상의 공간, 시민의 공간, 춘절 축제의 공간으로 종교적인 색체를 과감히 제거하면서도 ‘전통’이란 이미지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 물론 이 ‘전통’의 의미가 과거의 역사적 정서를 그대로 옮겨오기에 한계가 있었지만 시민에게는 묘회와 춘절이란 명칭만으로 여전히 그 유효한 가치를 심어주었다. 시민들은 묘회에서의 춘절을 통해 소통과 교류 그리고 문화적 정서를 공유할 수 있었고, 묘회를 문화 광장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묘회는 거대한 박람회장을 방불케 하며 시민들의 다양한 요구와 삶의 변화를 수용했고, 정부 역시 전통문화공간으로서의 춘절의 이미지를 구체화하면서 자연스럽게 주도권을 행사할 수있었다. 지단 공원은 도서 시장인 서시(書市) 개최를 지원하면서 책과 시민의 만남을 수용했고, 용담 공원 호수의 자연 자원을 활용해 단오(端午)에 용선절(龍船節) 축제를 열어 전통 문화 체험 장으로 자존감을 높였다. 현대 북경 공원 묘회는 춘절의 강력한 메시지를 전하고 있으며, 전통적 정서와 일상 공간으로서의 정체성을 부여하는 문화 광장의 새로운 동력이 되고 있다.The re-starting of Chinese New Year in the park temple fair after the Reforms and Openness in the 1980s began with the ‘culture making’ by the government in its effort to find the identity of traditional culture. With the pilot operation of Jidan Park and Yongdam Park in Beijing as major sites to hold temple fair ,the custom of holding Chinese New Year among people has also changed. temple fair naturally fuses traditional values and daily life of Chinese New Year, and strengthen cultural identity as the driving force of enjoying a specific space. Therefore, temple fair is the place which leads individuals, society, and community to experience Chinese New Year and prey for something. The value, mood, and traditions of Chinese New Year which had a long history were despised and destroyed by various political and social conflicts following the Sinhai Revolution in 1911. Then, the government, to compensate for the failure of the revolution, collected opinions from various sectors of the society, and expressed its willingness to pursue cultural policy. As the economic situation became better after the Open-door policy in the mid-80s, Chinese New Year also could escape from the political obstacle. Especially, with Yongdam Park in Beijing being selected as the site for holding Chinese New Year temple fair in 1984, and Jidan Park being also chosen as such a site in 1985, the cultural meaning of traditional value began to be emphasized. Those two sites received the citizens`` support as the channels of reviving Chinese New Year culture and recovering cultural identity. For a long time, Chinese New Year had faced crisis because of the civil war and political dissonance, and changed into the site of political teaching lacking citizen sharing and communication. The government, to compensate for such a political reality, had to hurry recovery of traditional culture. In such a respect, re-birth of park temple fair in Beijing was an important case where people could strengthen nationalistic mood and recover contemporary traditional culture. To re-start Chinese New Year in temple fair in the park has the meaning of being the first step to recover the customs of the traditional culture from the extinct past, and attach importance to citizens as subjects who enjoy culture. Thus, the opening of temple fair in the park was the space of daily life, of citizens, and of Chinese New Year festival, and could maximize the image of ‘tradition’, while drastically eradicating religious colors of it. Of course, there are limits in reviving historical mood of the past in the ‘tradition’. But, the names temple fair and Chinese New Year were effective to make people enjoy tradition. Through Chinese New Year in temple fair, people could share communication, exchange, and cultural mood, and began to recognize temple fair as a cultural plaza. temple fair resembled a huge exhibition which embraced various demands and change of living styles. The government, by concretizing the image of Chinese New Year, could naturally lead the event. Jidan Park, with its support for the ‘Book City’, book market, supported the meeting of books and citizens. Using natural resources of the Yongdam Park Lake, it held the Yongseonjeol festival at The Dragon Boat Festival, upgrading its pride as the place of experiencing traditional culture. Currently, park temple fair in Beijing provides new driving force of cultural plaza which sends a strong message of Chinese New Year, and gives the identity of traditional mood and daily space.
UR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260653http://hdl.handle.net/20.500.11754/46783
ISSN
1738-933X
Appears in Collections:
RESEARCH INSTITUTE[S](부설연구소) > EAST ASIAN CULTURE RESEARCH INSTITUTE(동아시아문화연구소)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