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9 0

허난설헌의 유선문학(遊仙文學)에 나타난 시간 이미지 고찰

Title
허난설헌의 유선문학(遊仙文學)에 나타난 시간 이미지 고찰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time images in Yusun literature of Heonanseolheon
Author
강민경
Keywords
허난설헌; 유선문학; 유선시; 시간의식; 시간 이미지; 밤; 봄; 초월 시간; Heonanseolheon; yusun literature; yusun poetry; time consciousness; time image; night; spring; transcendental time
Issue Date
2014-05
Publisher
한국도교문화학회
Citation
Journal of the studies of Taoism and culture, 2014, 40, pp.129 - 156
Abstract
본고는 허난설헌의 유선문학에 나타난 시간 이미지를 살펴, 유선문학에서 시간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밝히고, 허난설헌의 내면에 투영된 시간 의식에 대해 규명한 것이다. 먼저는 허난설헌의 삶과 유선 문학의 창작 배경에 대해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허난설헌의 시간 의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난설헌의 유선시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시간 이미지는 밤이었다. ?유선사? 87수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시에서 밤을 나타내는 시어가 쓰였다. 밤이라는 고요한 시간은 선계의 화려한 음악을 더욱 도드라지게 만들었다. 나아가 밤은 고요한 분위기를 형성하는 데 그치지 않고 애상적이고 쓸쓸한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이는 작가의 현실적 삶이 투영된 것이었다. 밤을 드러내는 사물로써 ‘달’이라는 소재가 빈번히 활용되었다. 달은 시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지배하면서 화자의 정서를 대변하였다. 두 번째로, 가장 흔하게 등장하는 계절적 배경은 봄이었다. 봄의 이미지는 따스하고 생동적인 분위기를 만들어냈다. 현실에서의 봄은 그녀의 외로운 처지를 부각시키는 대비 효과를 가져다 준 반면, 선계에 나타난 봄은 아늑하고 화사한 분위기를 만드는 데 기여하였다. 특히 계수나무와 복사꽃을 통해 봄의 이미지를 드러냈다. 따뜻한 봄날을 묘사하면서 차가운 촉각 이미지를 어울려 쓴 것은 현실에서의 그녀의 외로운 처지가 반영된 것이라 보았다. 세 번째로, 선계의 시간 의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선계의 시간은 초월 시간으로 나타나지만 허난설헌은 이별의 상황에서 선계의 시간을 드러내고 있었다. 이별의 상황에서 긴 선계의 시간을 대비함으로써 빨리 만나고픈 그리움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드러내었다. 또한 선계의 시간임에도 현실의 시간과 동일하게 변화하고 흘러가는 시간 이미지가 나타났다. 이 역시 현실에서의 외로운 심리가 은연중 투영된 것이라 보았다. 곧 허난설헌의 시간 의식에는 현실의 불행한 그녀의 처지와 무의식적 욕망이 투영되어 있었다.This article aimed to look time image in Yusun literature of Heonanseolheon and to reveal some aspect of time and to evaluate the heonanseolheon’s time consciousness. To do this, first, I watched the life of heonanseolheon and her creative background, based on this I inquired about heonanseolheon time consciousness. First, the most commonly appeared image in Nanseolheon’s Yusun poetry is the night s during a wired image was night time. In ?Yusunsa? 87, the night was used in almost half of them. That night become seongye’s gorgeous music more significant. Moreover, the night made atmosphere lonely and dreary. This is considered to be the artist's real life. 'Moon' was utilized. to reveal night. The moon controlled overall atmosphere and represented the speaker's emotions. Second, the most common seasonal background was spring. Images of spring created a warm and lively atmosphere. Spring in reality made her more lonely but spring in Sungye made cozy and bright atmosphere. In particular, the image of the spring was revealed through Cassia and Peach Blossom. I thought that warm spring and cold tactile image were her lonely situation that reflected in reality. Third, I examined the time conscious in seongye. Seongye’s time was transcends time, but heonanseolheon showed Seongye’s time at the Situation of separation. At that time, nanseolheon expressed the feelings of longing effectively as comparing long time in seongye. In addition, even though the time in seongye was changing, and passing samely with the real time. I thought that the lonely mind in reality appeared secretly. The time consciousness of heonanseolheon reflected her unfortunate reality.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2414787http://hdl.handle.net/20.500.11754/46195
ISSN
1598-7906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S](인문과학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