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2 0

아웃도어 플래그쉽스토어를 통한 체험마케팅의 공간표현에 대한 연구

Title
아웃도어 플래그쉽스토어를 통한 체험마케팅의 공간표현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patial Expressions of Experiential Marketing through Outdoor Flagship Stores
Author
남경숙
Keywords
Flagship Store; Experiential Marketing; Outdoor Brand
Issue Date
2013-06
Publisher
한국디자인지식학회 / Korea Design Knowledge Society
Citation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2013, 26, p.65-74
Abstract
최근 웰빙과 주 5일제 근무가 사회 전반적으로 확산되면서 아웃도어 패션 라이프가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가 변화함에 따라 소비자 라이프스타일도 변화하면서 아웃도어 웨어 시장도 마케팅방법이 세분화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 있는 아웃도어 플래그쉽스토에서 체험마케팅을 적용한 사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코오롱스포츠는 대규모 공간으로 체험마케팅을 강조하여 실내공간에서 감각적인 요소가 많이 나타났으며, 몽벨은 외부디스플레이와 출입구 부분에 인지적 요소가 많이 나타났다. 더 도어는 젊은 층이 선호하는 공간마케팅을 계획하여 다양한 체험요소를 경험할 수 있으며, 픽 퍼포먼스는 다양한 상품들을 잘 구별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 하였고, 르꼬끄에서는 매장 외부는 브랜드의 이미지를 강조하며 인지적인 요소가 많이 나타났다. 체험마케팅의 다섯 가지 요소가 확연하게 크게 차이는 나지 않았지만 특히 행동적 체험과 관계적 체험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With the recent spread of well-being and the system of five working days a week across the society, the outdoor fashion life has become universal. Those changes of social atmosphere have resulted in the changes of consumer lifestyle, which have in turn segmented marketing methods in the outdoor wear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cases of applying experiential marketing to outdoor flagship stores in the nation. Kolon Sport highlighted experiential marketing with large space and had many sensuous elements in interior space. Montbell exhibited many cognitive elements in the exterior display and entrance. The Door planned space marketing preferred by the young generationand allowed them to experience a variety of experiential elements. Peak Performance carried out display in a way to distinguish various products well. le coq sportif highlighted the brand image and showed many cognitive elements in the exterior. Although there were no big, clear differences in the five elements of experiential marketing among them, they especially needed to further reinforce behavioral and relational experience.
URI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196840http://hdl.handle.net/20.500.11754/46026
ISSN
2092-704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 ECOLOGY[S](생활과학대학)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