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7 0

무한 경쟁 시대의 글로벌 인재 되기: 글로벌 인재 담론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Title
무한 경쟁 시대의 글로벌 인재 되기: 글로벌 인재 담론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Other Titles
Becoming a Global Talent in the Era of Unlimited Global Competition :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he Global Talent
Author
류웅재
Keywords
글로벌 인재; 신자유주의; 지구화; 자기계발; 담론; 비판적 담론분석; Global Talent; Neo-liberalism; Globalization; Self-government; Discours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사회 / Social Science; 신문, 언론, 저널리즘
Issue Date
2013-12
Publisher
한국언론학회 /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Citation
커뮤니케이션 이론 / Communication Theories. 2013-12 9:4-57
Abstract
이 연구는 확장된 자기계발 담론으로서의 글로벌 인재 담론에 주목하여 이를 신자유주의적 지구화라는 맥락에서 통시적으로 추적하였다. 이는 ‘글로벌 경쟁력’이라는 언술을 통해 개별 기업과 산업 일반으로 침투한 제도적 층위에서의 신자유주의적 지구화가 ‘글로벌 인재’라는 미시적 담론을 통해 개인과 사회로 스며들고 있다는 가정하에 구체적 담론의 형성 과정과 이의 현실 작용력을 실증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세계화라는 용어가 최초로 국가의 공적담론으로 등장한 문민정부에서부터 박근혜 정부에 이르는 역대 전·현직대통령의 취임사 및 신년사를 대상으로 페어클로우의 비판적 담론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을 차용해 분석하였다. 동시에 국정 담론을 매개하거나 교육 담론, 기업 담론 등 인접한 하위 영역의 담론들과 접합하는 미디어 담론의 변천 과정을 함께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문민정부에서 촉발된 세계화 담론이 이후 정부들을 거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확대 재생산되며 한국사회를 신자유주의적 가치로 재편하는 일종의 담론구성체로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가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조하는 국정 담론은 곧 글로벌 경영을 내세우는 기업 담론 및 글로벌 인재양성을 근거로 하는 수월성 교육 담론과 접합되며 시장주의적 가치를 사회 전반에 확산시켰다. 또한 노동자 계급을 비롯한 주체는 글로벌 경쟁 환경에 적응하고 생존하기 위해 글로벌 마인드와 열정, 창의성 등의 가치를 내면화해 자신을 끊임없이 계발하고 단련하는 새로운 주체로 구성되고 있다. 반면 신자유주의적 지구화의 수용에 상당부분 기인하는 양극화와 실업문제 등 구성원의 사회, 경제적 불안정성에 대한 국가의 공적, 사회적 책임은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개인의 글로벌 인재 되기라는 담론구성체와 수사학적 해법을 통해 개인적, 미시적 차원의 문제로 축소되거나 은폐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ve process of discourse politics on the ‘Global Talent’ in South Korea. The formative process of ‘Global Talent’ discourse and its articulative process with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discourse were analyzed based on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pproach. For this purpose, we have traced the South Korean Presidents’ Inaugural Address and New Year’s message from the 14th president of South Korea, Kim Young-sam to the 18th president, Park Geun-Hye. Also editorials and feature articles of eleven major daily newspapers on the global talent between February 1993 and May 2013 were examined concurrently. We found that the Korean State’s discourse politics surrounding globalization have disseminated and strengthened the neo-liberal social order in everyday life of Korean people by mediating and articulating the media discourse. Especially, ‘self-improvement’ discourse was extended to the ‘Global Talent’ discourse and also the ‘Excellence in Education’ discourse with globalization discourse as borderless competition for talent was effectively articulated. It exemplifies that the discourse of ‘Global Talent’ is a powerful technology for self-government in line with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based on an autonomous and self-responsible subject in the era of ever-increasing global competition.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2315455http://hdl.handle.net/20.500.11754/45451
ISSN
1738-722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S](사회과학대학) > MEDIA COMMUNICATION(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