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3 0

푸코의 통치성 분석에 대한 기초적 고찰

Title
푸코의 통치성 분석에 대한 기초적 고찰
Other Titles
Foucault’s Analysis of Governmentality
Author
임미원
Keywords
미셸 푸코; 권력; 통치성; 자유주의; 생명정치; 호모 에코노미쿠스; Michel Foucault; Power; Governmentality; Liberalism; Biopolitics; homo economicus
Issue Date
2016-04
Publisher
한국법철학회
Citation
법철학연구, v. 19, no.1, page. 99-136
Abstract
‘정치적인 것’에 관한 최근의 논의에서 ‘통치성(governmentality)’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푸코의 저작 󰡔안전, 영토, 인구󰡕와 󰡔생명관리정치의 탄생󰡕은 이런 통치성의 문제에 접근하기 위한 디딤돌이 될 만하다. 자신의 저작을 통해 푸코는 ‘권력의 기술’ 및 ‘정치적 합리성’이라는 관점에서 서양의 통치성의 계보사를 그려 내고 있다. 무엇보다 푸코는 17, 18세기의 국가이성(state reason)과 19세기의 자유주의 통치성(liberal governmentality)을 구별하고, 이들은 각각 어떤 관심과 작동 방식에 의해 통치효과를 얻어 냈는지 분석한다. 국가 이성이 ‘주권의 완전성’과 ‘국가 자체의 강화’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자유주의 통치성은 ‘통치의 효율성’이라는 차원에서 자체의 법칙에 따라 순환하는 다양한 사회관계들을 관리-조절하는 데에 집중하였다. 즉, 자유주의 통치는 인구-시장-자유-안전으로 이어지는 자연적-사회적 과정들의 순환에 관심을 두고, 특히 사회적 자유와 안전장치의 관계를 중시하였다. ‘자유’와 ‘안전’ 간의 상호조절-순환 없이는 통치의 기술로서 자유주의는 존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푸코의 분석에 따르면 20세기 독일의 질서자유주의와 미국의 신자유주의는 통치의 효율성 면에서 성공적인 형태의 정치적 합리성에 도달했다. 이들 두 통치 양식은 무엇보다 ‘국가의 자유주의적 개입’이라는 새로운 전략과 ‘호모 에코노미쿠스’ 및 ‘인간자본’이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사물과 (인구로서의) 인간의 자연-본성적 순환을 이끌고자 했다. 이런 맥락에서 푸코는 통치성을 ‘행위의 행위’(the conduct of conduct, 행위의 지휘인도)라고 규정한 바 있다. 자신의 분석에서 푸코는 신자유주의적 통치 합리성의 우월함을 부정하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신자유주의 통치성에 대한 저항과 전복은 푸코에게 있어 회의적일 수밖에 없지만 그럼에도 진실을 위해 포기할 수 없는 실천이다. The concept of the governmentality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discourse on ‘the political’. Foucault’s works <Security, Territory and Population> and <the Birth of the Bio-politics> have become the common ground of the approach to ‘the governmentality’. Foucault investigates the genealogy of the governmentality in the light of the technology of power and the political rationality. Foucault introduces a differentiation between modern ‘state reason’ of 17C and ‘liberal governmentality’ of 19C. The modern state reason had focused on the perfection of the sovereignty and strengthening the state itself, whereas the liberal governmentality on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and managing the social relations with their own regularities. Liberal government was concerned mainly with the natural process of population, market, social liberties and security. Especially the relation between social liberties and the provision of security had played great role in the governmental practice. Liberalism as art of government can not do without the natural circulation of liberty and security. Following Foucault’s analysis Ordo-liberalism in Germany and Neoliberalism in America have achieved the effective and successful form of political rationality. They have introduced the new strategy of the ‘liberal intervention of state’ and the new concept of ‘homo economicus’ and ‘human capital’, with that the natural circulation of things and men as population can be well conducted. Foucault defines government in that means as “the conduct of conduct”. In his genealogical analysis Foucault doesn't deny the ascendancy of neoliberal governmental rationalities. This makes the resistance to the neoliberal governmentality more skeptical and necessary.
UR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431169http://hdl.handle.net/20.500.11754/43327
ISSN
1226-8445
Appears in Collections:
SCHOOL OF LAW[S](법학전문대학원) > Hanyang University Law School(법학전문대학원)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