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8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탁영란-
dc.date.accessioned2018-03-06T02:30:58Z-
dc.date.available2018-03-06T02:30:58Z-
dc.date.issued2013-02-
dc.identifier.citation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Feb 2013, 16(1), P.47-52, 6P.en_US
dc.identifier.issn2287-8238-
dc.identifier.issn1226-9778-
dc.identifier.urihttp://db.koreascholar.com/Article?code=283101-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20.500.11754/4285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생태학 이론에 근거하여 외체계에 해당되는 학교주변의 자연환경을 살펴보고 개방성 및 접근성 정도에 따라 초등학생의 자연과의 연계성과 자아개념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하는 초등학교 4곳에 재학 중인 5학년 3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초등학교 4곳은 모두 도심 속 국공립 초등학교로 학교 주변으로 개방성 및 접근성 정도가 다른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다. A학교는 큰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B학교는 근접한 곳에 도시형 녹지공원이 위치하고, C학교는 뒤편으로 낮고 작은 산이 위치하고, D학교는 우리나라 문화유산인 궁으로 둘러싸여 있다. 측정도구로는 Mayer and Frantz(2004)의 자연과의 연계성과 Kelley(1998)의 자아개념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자연과의 연계성과 자아개념은 D학교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자연과의 연계성 3.35±.51, 자아개념 3.55±.46), 초등학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차이를 보였다(자연과의 연계성 F=3.36*, 자아개념 F=9.25***). 자연과의 연계성과 자아개념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B학교(r=.48***)와 C학교(r=.37***)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일반적 특성인 성별, 환경관련교육 경험여부, 거주지형태를 통제한 부분 상관관계에서도 비슷한 결과로 나타났다. 학교 구분없이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 역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34***). 자연환경의 개방성과 접근성 정도가 비교적 좋은 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의 자연과의 연계성과 자아개념간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것은 비록 학교 내 자연환경은 아니지만 외체계로써 시각적 또는 물리적 접근이 가능한 학교 주변의 자연환경 역시 아동이 자연과 연계된다고 인식하고 궁극적으로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갖는데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겠다. 학령기에 해당되는 초등학생의 경우 학교생활과 방과 후 활동을 통해 발달적 과업 성취와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학교환경은 물론 학교주변 자연환경 역시 중요한 물리적 환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초등학생의 건강증진을 위해 학교 주변 자연환경은 자연 개방성과 접근성을 고려한 생태학적 환경으로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외체계를 제외한 나머지 체계와 관련된 변수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편의추출에 의한 자료수집 역시 본 연구의 제한점이 될 수 있다. 초등학생의 자연과의 연계성과 자아개념 간의 관련성 또는 인과관계를 보다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도록 변수추가에 따른 다각적인 연구방법(종단적 연구, 중재연구, 다변량분석 등)을 제언하는 바이다.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nature as exosystem environment on connectedness to nature and self-concept among elementary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on 184 male and 170 female students, who were 5th grade in four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Korean urban. Four school(A, B, C, D) have diverse characteristics based on level of openness and accessibility to nature. D school which is palace with various trees/plants, but bad level of openness and accessibility, had high scores in connectedness to nature and self-concept. However, B school(high level of openness and accessibility) and C school(little high level of openness and accessibility) had significantly correlation between connectedness to nature and self-concept) except A school and D school. This suggests that nearby nature as exosystem environment can influence well-being and health of elementary students.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en_US
dc.subjectExosystem environmenten_US
dc.subjectWell-beingen_US
dc.title학교주변의 자연환경 개방성 및 접근성이 초등학생의 자연연계성 인식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en_US
dc.title.alternativeEffects of Openness and Accessibility to Nature Nearby School on Connectedness to Nature and Self-concept among Elementary Students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1-
dc.relation.volume16-
dc.relation.page47-52-
dc.relation.journal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dc.contributor.googleauthor탁영란-
dc.contributor.googleauthor안지연-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차희-
dc.contributor.googleauthorTak, Young-Ran-
dc.contributor.googleauthorAn, Ji-Yeon-
dc.contributor.googleauthorLee, Cha-Hee-
dc.relation.code2012220911-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SCHOOL OF NURSING[S]-
dc.sector.departmentSCHOOL OF NURSING-
dc.identifier.pidyrta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NURSING[S](간호학부) > NURSING(간호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