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1 0

기업의 투자의사결정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Title
기업의 투자의사결정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Firm’s investment decision and its effects on the market value
Author
조문희
Keywords
기업의 투자의사결정; 투자현금흐름; 본업 관련; 비관련 투자; investment decision; cash flow from investment; related (unrelated) investment
Issue Date
2012-10
Publisher
한국회계학회
Citation
회계저널, v. 21, no. 5, Page. 31-64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기업이 본업과 관련된 항목에 대한 투자를 수행하는가, 혹은 비관련 항목에 대한 투자를 수행하는가에 따라 투자수익률 및 기업 가치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본업 관련 항목에 대한 투자에 더 치중하는 기업일수록 관련 항목에 대한 투자와 비관련 항목 관련 투자가 투자수익률 및 기업 가치와 어떠한 연관성을 보이는지 관찰한다. 기업의 투자의사결정 양상에 따른 투자가액을 측정하기 위해 현금흐름표상 투자활동으로부터의 현금흐름 항목을 사용하였으며, 이 중 자본적 지출을 포함한 유․무형자산 투자 관련 항목을 관련투자로 분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의 본업과 관련된 투자는 당기 투자수익률이나 기업가치에 모두 긍정적으로 반영되었다. 단지 비관련투자보다 관련투자에 더 많이 치중하는 기업의 경우 관련투자는 오히려 투자수익률을 떨어뜨렸는데, 이는 유․무형자산 투자에 수반되는 비용 역시 함께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비관련투자는 당기 투자수익률에 대해서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으나 기업가치에는 정(+)의 관련성을 보였다. 이는 투자자들이 기업의 투자행위 자체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관련 혹은 비관련투자의 내용을 구분하여 당기에 즉시 반영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기 대비 당기 기업가치의 증감을 살펴보았을 때, 관련 부문에 치중하는 기업의 경우 관련투자는 전기에 비해 당기 기업가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데 기여한 반면, 비관련투자는 오히려 기업가치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투자자들의 차별적 평가를 확인하였다. 한편 기업의 투자활동으로 인한 결과는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나타난다는 점을 고려하여 투자 후 3차 연도까지 장기적 반응을 관찰하였다. 관련투자의 경우 장기적으로는 투자성과에 부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관련 투자는 오히려 투자성과를 올리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기업가치에 대해서는 비관련투자보다 관련투자가 보다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시장반응을 이끌어내어, 관련 혹은 비관련투자에 대한 투자자들의 반응지속기간에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경우에도 관련투자에 더 치중하는지 여부는 투자 후 2차 연도까지는 기업가치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3차 연도에 들어서면서 관련투자에 치중하는 기업일수록 기업가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부 투자자들이 자본적 지출이나 연구개발 투자와 같은 본업 관련 투자는 기업의 미래 성장을 가져다 줄 수 있는 긍정적 기회로 보는 반면, 지분투자와 같은 비관련투자는 기업의 미래 성장이나 수익을 지속적으로 가져다 줄 수 없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firm’s investment decision on ROI (Return on Investment) and the market valu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vestment-related versus unrelated. Furthermore, we observe if there are different results when a firm takes more biased investment decision in the sector directly related to its main business. Using the cash outflow from investment in the cash flow statement, capital expenditures, including the investment in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are sorted into the related investment, and the residuals into the unrelated investment.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elated investment has positive relations to ROI and the market value. However, the excess related investment over the unrelated investment lowers the level of ROI due to the increasing expenses of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There are no effects of the unrelated investments on ROI, but the positive effects on the market value. Discriminative concern of investors about the type of the investment-related or unrelated- may not be reflected instantly to the market value, but the more and significantly increased (decreased) market value than last year is induced by the related (unrelated) investment. One more consideration we have is the long-term effects of a firm’s investment decision. To see the long-term effects of the investment, we extend the sample period to 1~3 years after carrying out the investment. This additional test shows that the related investment has negative relations to the future ROI during the post-investment period while the unrelated investment shows positive relations. One possible interpretation is the related investment brings more increasing expenses for repairs and maintenance as well as deprecations or amortizations, but the unrelated investment has the increasing revenues like interest or dividend or rent rather than the increasing expenses. The market value, meanwhile, has a different duration according to the related- or unrelated investment: the longer duration of the related investment than of the unrelated investment. The biased investment toward the business-related sector of a firm has no effects on the market value until the second post period from the investment, but produces a higher market value in the third year. This may be the fact that investors positive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related investment to boost a firm’s future profitability and continuous growth, but not likely of the unrelated investment.
URI
http://hdl.handle.net/20.500.11754/41758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156528
ISSN
1229-327X; 2508-720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BUSINESS[S](경영전문대학원)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