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7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연희-
dc.date.accessioned2018-02-28T04:27:51Z-
dc.date.available2018-02-28T04:27:51Z-
dc.date.issued2011-05-
dc.identifier.citation한국복식학회지, 64(6), 102-119en_US
dc.identifier.issn1229-6880-
dc.identifier.urihttp://www.ndsl.kr/ndsl/search/detail/article/articleSearchResultDetail.do?cn=JAKO201430169051600-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20.500.11754/4108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자신만의 차별화된 스타일을 연출하고 싶어하는 현대인들에게 중요한 패션 코드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다양하고 자유분방한 성격의 키치에 대해 살펴보고, 패션에서 나타난 키치의 조형적 특성을 통해 액세서리에 나타난 경향을 분석해봄으로써 액세서리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사고의 전환을 통한 다양한 디자인 개발의 원천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본 연구의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액세서리의 개념과 변천 과정을 서양사를 통해 살펴본다. 둘째, 키치와 키치 패션의 개념에 대해 고찰해본다. 셋째, 현대 패션에 나타난 키치적 조형성을 분류하고 정리해본다. 넷째, 현대 패션 액세서리에 나타난 작품 분석을 통해 키치적 특성을 조사? 분석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액세서리와 키치에 대한 고찰을 위해 국내?외 서적, 인터넷, 학술 논문 등을 참고하였고, 선행 연구를 통해 키치 패션의 조형적 특성의 분류기준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2000년 이후부터 2009년 까지의 10년간, 밀라노, 파리, 런던, 뉴욕의 세계 4대 여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디자인을 중심으로 패션 잡지, 인터넷 웹사이트 등에 발표된 작품들 중 약 1198점을 1차적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작품들을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패션 디자인을 전공하는 의류학 분야의 전문가 9명을 포커스 그룹으로 선정하여 앞서 도출된 분류 기준을 토대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설문 결과, 197점의 액세서리가 n<5 즉, 전문가 집단의 선택이 과반수를 넘지 못한 작품들로 분석에서 제외되어 총 1001점(전체 표본의 84%)의 작품이 선정 되었다. 설문의 결과를 토대로 액세서리에 나타난 키치적 표현 특성과 경향을 분석,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행 연구를 통해 키치 액세서리의 조형적 특성은 과장성, 풍자성, 부적절성, 유희성, 향수성의 5가지로 도출되었으며, 키치적 특성이 나타난 액세서리 중에서 머리장식을 포함한 모자와 목걸이, 귀걸이, 팔찌가 각각 37%, 31%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수집된 액세서리 전체에서의 조형적 특성을 분류한 결과 유희성과 과장성이 각각 32%, 24%로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연도별 빈도수는 2000년부터 2006년까지는 꾸준한 상승세를 나타내다가 2006년을 기점으로 2008년까지 잠시 주춤한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트렌드의 영향으로 인한 것이며, 2009년 패션 트렌드에 액세서리가 특히 주목받으면서 보다 새롭고 과감해진 디자인의 키치적 작품들이 많이 나왔고, 그 비중이 다시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액세서리 전반에 걸쳐 키치적 디자인을 가장 많이 볼 수 있었던 디자이너는 Dior, Jean Paul Gautier, Alexander McQueen, John Galliano 였고, 작품 수는 조사범위인 20시즌 중 Dior이 16시즌(64점)으로 가장 많았다. 키치 특성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유희성 부분의 디자인은 Jeremy Scott, Cheap & Chic by Moschino, JC De Castelbajac, Agatha Ruiz de la Prada의 작품에서 특히 많이 볼 수 있었다. 키치 액세서리의 조형적 특성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장성은 과시적 심리가 반영되어 과도한 이미지를 형성한 형태적 과장성과 단순함을 거부하고 보다 많은 것을 요구하는 수집적 과장성으로 나뉜다. 둘째, 풍자성은 쉽게 소모될 수 있는 소재 등을 사용하여 사회에 대한 메시지를 상상력을 통한 유머로서 풍자하는 모조성과 자본주의 사회의 세속성과 인간소외의 황폐함에 대한 파괴적이고 공격적인 성향이 주로 나타나는 저항적 풍자로 나뉜다. 셋째, 의도적인 오류로 나타나는 부적절성은 일반적인 상식을 뒤엎음으로써 기존의 미적 감각을 부정하는 형태로 존재하며 고정관념을 깬 변형, 왜곡된 표현이 많고 새로운 형태의 미를 창조한다. 넷째. 유희성은 기발한 착상이나 놀라움이 내포되어있을 때 유머러스한 유희 효과가 나타나며 유희의 이러한 현실 이탈 방법은 일종의 경쾌함, 즉 현실세계가 지닌 무게를 벗어난 가벼움, 흥취로운 쾌감을 준다. 엉뚱한 상상력으로 탄생한 상식을 벗어난 아이디어의 아이템이나 장식들이 많은 장난스러운 유머는 주변 소재를 이용한 장난스러운 의도로 재미와 웃음을 유발시키는 특성이 있고, 유아로 남고자 하는 심리가 유치한 키치적 태도로 나타나 유아적 상상력과 유머감각을 갖게 하는 유아적 유희는 동화적인 세계의 순수성을 갈망하는 표현으로 동물, 인형, 만화 캐릭터 또는 유아들이 좋아하는 풍선, 레고, 색종이 등을 소재로 한 작품이 많았고, 원색의 컬러풀한 색상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다섯째, 향수성은 도시화의 발달로 삭막해진 현대 사회로부터의 일탈, 자연과 전원 생활에 대한 동경을 표현한 낭만성과 이질적이고 상대적인 여러 요소들이 상호적인 차용을 통해 새로운 미적 범주로 재탄생 되는 중층성으로 나누어졌다. 낭만성에서는 자연이미지가 주로 나타났으며, 소재로는 꽃이 가장 많이 쓰였고, 새, 나뭇가지, 조개 껍질 등이 내추럴한 감각으로 사용되었다. 중층성은 과거의 액세서리와 현재의 복식이 공존하는 절충된 디자인, 각 문화권의 전통적인 스타일을 현대에 맞게 변형시킨 디자인이 많았으며 아프리카와 인디언, 동양권 문화를 동경하는 이국적 양상을 볼 수 있었다.이상으로 현대 컬렉션에 나타나는 키치 액세서리에 관하여 고찰해보았다. 절대적인 미적 가치가 사라지고 개성이 중시되는 현대 사회에서 키치적 패션은 부가가치가 높은 아이디어 집약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있고, 특히, 토털 코디네이션 개념으로 중요해진 액세서리 트렌드에 새로운 감각으로 접목된 키치 이미지는 미적 범주의 가능성을 넓히고, 변화와 개선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정서를 이해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en_US
dc.subject유희성en_US
dc.subject과장성en_US
dc.subject부적절성en_US
dc.subject향수성en_US
dc.subject키치액세서리en_US
dc.subject풍자성en_US
dc.subjectamusementen_US
dc.subjectexaggerationen_US
dc.subjectinappropriatenessen_US
dc.subjectnostalgiaen_US
dc.subjectkitschaccessoryen_US
dc.subjectsatireen_US
dc.title현대 패션 액세서리에 나타난 키치(Kitsch) 특성en_US
dc.title.alternativeKitsch features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accessories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page57-59-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수영-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연희-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HUMAN ECOLOGY[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dc.identifier.pidyiyhee-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 ECOLOGY[S](생활과학대학)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