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4 0

한국과 중국 아파트의 평면구성 비교- 서울과 북경 중심부에 위치한 아파트를 중심으로 -

Title
한국과 중국 아파트의 평면구성 비교- 서울과 북경 중심부에 위치한 아파트를 중심으로 -
Other Titles
Comparison of the Apartment Unit Plans in Korea and China - Focus on the Seoul and Beijing centeral Apartment
Author
신경주
Keywords
Compare Unit Plans; Apartment; Korea and China; Seoul and Beijing; Hallway; Living room; Kitchen
Issue Date
2012-10
Publisher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Citati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권: 21, 호: 5,페이지: 46-56
Abstract
Though Korea and China have a lot of things in common, these two countries have developed different housing style. However, after modernization, apartments have become major housing style in both Korea and China. So this research analyzed 240 apartment plans which was build in Seoul and Beijing in 2000s and 2010s to predict the future trends for apart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front door will be outwards as the hallway space of small apartments in China become wider as the living standards is increasing. Because of the floor sitting lifestyle, Koreans end outdoor activities when take off their shoes at the entrance hall and continue for indoor activities, they separate entrance hall from livingroom. However, because Chinese have chair sitting lifestyle, entrance hall and livingroom is not divided. Korean apartment shows a trend which connects livingroom, diningroom and kitchen altogether; however, Chinese apartment shows a trend which separates kitchen from livingroom and diningroom. Bedrooms are showing a trend of distributed layout. Master bedroom are showing a trend which includes separate bathroom or attached room as the size of apartment increases and so on.한국과 중국은 공통점을 공유하면서도 역사적으로 서로 다른 발전 과정을 거치면서 독자적인 주택을 형성하였다. 그러다가 근대화 과정을 통해 함께 아파트가 대표적인 주거가 되었다. 이에 양국 아파트 평면구성의 변화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의 변화 방향을 예측하고자 한국과 중국의 수도인 서울과 베이징 중심에 위치하는 대규모, 중규모, 소규모의 2000년대와 2010년대의 아파트 평면 240개를 분석 하였다. 분석내용은 아파트의 현관, 거실, 부엌, 식당, 침실, 욕실 등으로 양국 아파트의 평면구성의 변화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의 변화 방향을 예측하고자 하였으며 얻어진 주요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1) 현관 진입방식은 2000년대는 양국 모두 전실진입형이 현관진입형 보다 많았으나 2010년대는 현관진입형이 증가를 보여 앞으로의 일반적인 아파트의 현관 진입방식은 규모에 관계없이 전실을 거치지 않고 현관으로 진입하는 쪽으로 변화 할 것이 예측 되었다. 2)현관문의 개폐는 앞으로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중국 소규모아파트의 통로 공간이 넓어지면 양국 모두 밖 열림으로의 변화가 예측 되었다. 3) 한국의 좌식생활은 외부에서 들어오면 현관에서 신발을 벗고 외부 행위를 끝내고 내부 활동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현관과 거실이 분리되어 현관에 단차가 있었다. 중국은 입식생활로 외부 행위가 내부로 연결되어 주거로 쉽게 접근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현관과 거실이 일체로 단차가 없었다. 4) 평면의 구성방식은 한국은 소.중.대규모아파트의 복도+거실형으로의 변화가 보였는데 특히 중.대규모에서 이 현상이 더욱 두드러졌다. 중국은 중.대규모 아파트에서 복도+거실 중심형으로의 변화가 보였다. 5) 거실, 식당, 부엌의 연계는 한국은 L-DK형이 일반적이다가 2010년대에는 규모가 커질수록 LDK형이 증가하고 L-DK형이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중국은 L-DK형이 아파트 규모에 관계없이 모두 없어지는데 이것은 음식의 특성상 부엌이 다른 공간과 함께 있으면 생활이 불편하기 때문으로 주방에는 외기와 접하는 창을 확보하는 특징을 가져 식당의 독립이 높았다. 6) 침실의 배치방식은 양국 모두 분산배치 방향으,로 변화를 보이는데 한국에서 아파트 규모가 작을수록 그 경향이 더 강하였다. 7) 부부침실의 공간구성은 양국 모두 규모가 커질수룩 침실 단일형이 줄고, 욕실이나 전실이 포함되는 방향으로 변화가 예측 되었다. 8) 남면한 공간 수는 소.중.대규모 모두 2BAY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이 경우 환경 조건이 좋은 공간수가 더 많아질 수 있기 때문으로 앞으로도 계속 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9) 욕실의 배치방식은 다양하였는데 2000년대 소규모아파트는 양국모두 인접배치가 주류를 이루었고, 중, 대규모 아파트는 모두 분리배치가 많았다. 2010년대는 한국이 중국보다 모든 규모의 아파트에서 인접배치가 더 많았으며, 아파트규모가 작을수록 그 경향이 더 뚜렷하였다.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2173931http://hdl.handle.net/20.500.11754/39447
ISSN
1229-7992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 ECOLOGY[S](생활과학대학)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