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 0

대중 교통 지향 개발 관점으로 본 주택 유형과 통행 수단 선택 특성에 관한 실증분석

Title
대중 교통 지향 개발 관점으로 본 주택 유형과 통행 수단 선택 특성에 관한 실증분석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Types and Transport Mode Choice - Empirical Study with In-depth Survey
Author
최창규
Keywords
통행 수단 선택; 주택유형; 접근성; 대중교통; 다가구주택; Transport Mode Choice; Housing Type; Accessibility; Public Transportation; Multi-Family Housing
Issue Date
2012-04
Publisher
한국도시설계학회 /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Citation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3, 2, 35-46
Abstract
최근 녹색 교통 지향의 압축도시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대중교통시설 주변의 밀도 상승과 대중교통 이용 가능성을 연계시키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때 대중교통시설과 가까운 지역을 어떠한 주거지 형태로 개발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주거지를 결정하는 주요 변수로 주택유형을 선택하고 이들이 통근통행수단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회경제적 속성을 포함한 인적요소와 주거지와 관련한 물적 계획 요소가 통행수단의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여, 계획과 설계 시에 주거지 배치와 혼합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광범위한 설문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정보와 주택 종류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이들의 통행수단 선택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의 결과 지하철 및 버스정류장에 가까울수록 대중교통 이용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기존의 믿음은 보편적으로 실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가구ㆍ다세대 주택에서만이 지하철역에서의 접근성이 대중교통 이용 가능성을 높일 뿐이며, 아파트와 단독주택은 대중교통 접근성이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주로 아파트와 주상복합을 대상으로 하였던 기존 연구들과는 다른 결과이다.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은 대중교통 지향을 위한 도시개발 계획 시 주택용지 배분과 임대주택공급 계획을 위한 기초적 논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aims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characters of commuting modes by residential types. The efforts to plan high density residential developments near by mass transportation facilities would be considered to increase the possibilities of public transportation.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residents in apartment and mixed use complex close to subway stations exhibited higher probability of using the facilities. The differences on housing types, however, has not been dealt with former researches, although urban planners and designers choose one of the types and/or mixed them in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plan. With in-depth survey, this article could find that only the residents of multi-family housing type pres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s and the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such as subway station and bus stop. People living in the other housing types in the survey do not exhibit the relationship. The finding could give the basic understanding the urban planners and designers who deal with planning close to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in TOD(transit oriented development) consideration.
URI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172949http://hdl.handle.net/20.500.11754/37489
ISSN
1598-0650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