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4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태현-
dc.date.accessioned2018-02-06T05:17:15Z-
dc.date.available2018-02-06T05:17:15Z-
dc.date.issued2016-04-
dc.identifier.citation벤처창업연구, v. 11, NO 2, Page. 75-87en_US
dc.identifier.issn1975-7557-
dc.identifier.urihttp://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103350#none-
dc.identifier.urihttp://www.ndsl.kr/ndsl/search/detail/article/articleSearchResultDetail.do?cn=JAKO201615964635770&SITE=CLICK-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20.500.11754/3557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벤처캐피탈에 대한 정부의 간접출자가 창업초기단계 기업에 대한 투자를 장려하는지에 대해 논한다. 벤처캐피탈의 의사결정이 합리적 투자자의 관점을 취한다고 가정하고 정부의 자금투여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원리를 불확실성 완화효과, 정책유도 효과, 투자금의 규모의 경제효과, 정보비대칭성 완화효과, 자본비용 완화효과로 분해하여 이론적 고찰을 한다. 이론적 논의를 종합하여, 본 논문은 다음의 주장을 한다. 첫 째, 정부출자금의 규모가 벤처캐피탈의 창업초기단계 기업에 대한 투자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질 것이다. 둘 째, 창업초기단계에 대한 투자지침을 명시한 출자금을 유치한 벤처캐피탈의 창업초기단계 투자가 그러한 투자지침을 갖지 않는 출자금을 유치한 벤처캐피탈에 비해 클 것이다. 셋 째, 정부출자금의 창업초기단계 기업의 투자에 대한 규모효과는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감소하여 역U의 형태를 보일 것이다.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3년 사이 투자활동을 벌인 한국의 105개 벤처캐피탈사의 출자금 구성과 투자 내역자료를 활용하여 상기 주장의 유효성을 실증 조사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포함한 다양한 통계적 검정의 결과 세 가지 주장을 모두 지지하는 일관된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는 벤처캐피탈의 투자행태 및 정책개입의 효과와 메커니즘에 대한 새로운 설명을 제시한다는 이론적 의의와 이에 대한 실증근거의 제시를 통해 벤처기업 및 벤처캐피탈 정책의 효과와 방향성에 대한 재검토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government funds to venture capital on investment in early-stage firms. We provide novel explanations about this relationship focusing on mechanisms by which government funds influence the perceived uncertainty, decision about investment priority, scale economy of investment, information asymmetry in investment decision, and capital expense. We argue that venture capital’s investment in early-stage firms increases as government funds increase and as government funds are explicitly directed for early-stage firms. However, we further claim that the impact of government funds on early-stage investment will be decreasing as their size increases and finally be reverted to negative impact beyond a certain amount of funds to show inverse-U relationship. Our empirical examination using data from 105 Korean venture firms active as of 2013 consistently supports the claim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venture capital literature by providing novel arguments about mechanisms and effects of policy intervention in venture capital. In practice, we expect our result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relevant policy makers to review their venture support policy based on empirical evidences for policy effects.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벤처창업학회en_US
dc.subject창업투자회사en_US
dc.subject벤처캐피탈en_US
dc.subject창업초기기업투자en_US
dc.subject모태펀드en_US
dc.subject스타트업en_US
dc.subjectEntrepreneurship Educationen_US
dc.subjectEntrepreneurship Lectureen_US
dc.subjectEntrepreneurship Researchen_US
dc.subjectEntrepreneurship Historyen_US
dc.title벤처캐피탈에 대한 정부출자금의 초기단계기업 투자에 대한 영향: 한국의 벤처캐피탈에 관한 실증연구en_US
dc.title.alternativeThe Impact of Government Funds in Venture Capital on Investment in Early-Stage Firms: An Evidence from Korean Venture Capital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2-
dc.relation.volume11-
dc.identifier.doihttp://dx.doi.org/10.16972/apjbve.11.2.201604.75-
dc.relation.page75-87-
dc.relation.journal벤처창업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종훈-
dc.contributor.googleauthor정태현-
dc.contributor.googleauthorLee, Jonghoon-
dc.contributor.googleauthorJung, Taehyun-
dc.relation.code2016018338-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GRADUATE SCHOOL OF TECHNOLOGY & INNOVATION MANAGEMENT[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TECHNOLOGY MANAGEMENT-
dc.identifier.pidtjung-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