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0 0

대학생들의 완벽주의 성향과 주관적 행복감 및 사회적 지지제공의 관계: 사회적 지지수혜의 매개 효과

Title
대학생들의 완벽주의 성향과 주관적 행복감 및 사회적 지지제공의 관계: 사회적 지지수혜의 매개 효과
Other Titles
The Relations of Perfectionism to Subjective Well-Being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Giving among College Students: Received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Author
하정희
Keywords
완벽주의; 주관적 행복감; 사회적 지지; 대학생 상담; Perfectionism; Subjective Well-Being; Social Support; Counseling College Students
Issue Date
2011-05
Publisher
한국심리학회 /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Citation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11-05 23:427-449
Abstract
현재까지 완벽주의 성향이 긍정적인 심리적 기능의 지표들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완벽주의 성향과 주관적 행복감 및 사회적 지지제공의 관계를 살펴보고, 더 나아가 이들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수혜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관적 행복감은 개인 내적 기능의 긍정적인 지표로, 사회적 지지제공은 개인간 기능의 긍정적인 지표로 각각 간주되었다. 편의 표집 방식을 통해 217명의 대학생들로부터 자료가 수집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수혜가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및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벽주의가 사회적 지지수혜를 거쳐 사회적 지지제공으로 이어지는 매개 경로는 측정모형의 적합도 지수가 양호하지 않아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고, 상담 전략 및 개입 방법에 대한 시사점도 상세히 논의하였다.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posi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has not well known.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links among perfectionism, subjective well-being,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giving and the mediating role of received social support in these relations. Subjective well-being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giving were assumed to be positive indicators of students` intrapersonal functioning and their interpersonal functioning, respectively.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217 college students. Finding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received social support fully mediated the relation of self-oriented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ith subjective well-being. The pathways of perfectionism through social support reception to social support giving could not be tested because a measurement model produced a poor fi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to counseling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are discussed in detail.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369826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55020
ISSN
1229-068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PSYCHOLOGY[S](상담심리대학원)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