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은진-
dc.date.accessioned2018-02-02T01:17:54Z-
dc.date.available2018-02-02T01:17:54Z-
dc.date.issued2011-04-
dc.identifier.citation국제어문, 2011, 51, P.9-47en_US
dc.identifier.issn1225-1216-
dc.identifier.uri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50269-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우리말의 감각 형용사 중에서 후각을 나타내는 형용사의 의미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후각 형용사를 찾아 목록화한 후, 후각 형용사의 의미 체계를 고찰하였다. 더 나아가 후각 형용사의 의미 전이 현상까지 모색해 보았다. 후각을 나타내는 형용사는 후각의 분화 상태에 따라 〈향내〉, 〈고린내〉, 〈노린내〉, 〈비린내〉, 〈고소한내〉, 〈지린내〉, 〈매운내〉로 하위분류할 수 있었다. 후각 형용사는 기본 의미를 가진 단어를 바탕으로 단어의 내부 성분이 교체의 변화를 겪어 어감 차이로 인해 정도성을 나타내거나, 어근이나 접사를 결합시켜 새로운 성분이 단어 형성에 참여하여 단어의 의미나 성격을 변화시킴으로써 의미 체계를 형성해 나가고 있었다. 후각 형용사는 기본 의미에 후각적 자질과 더불어 미각적 자질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미각 형용사로 전이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음식이나 동식물의 냄새’가 ‘사람의 성품이나 행동’으로 의미 전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semantic vocabulary system by analyzing olfactory adjectives among Korean adjectives for the senses. Olfactory adjectives are classified into <hyangnae>, <gorinnae>, <norinnae>,<birinnae>, <jirinnae>, <gosohannae> and <maeunnae>, and they are classified again according to shap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right language use in everyday life by properly understanding the semantic system and meanings of olfactory adjectives through the semantic analysis of olfactory adjectives.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국제어문학회en_US
dc.subject후각en_US
dc.subject형용사en_US
dc.subject의미en_US
dc.subject향내en_US
dc.subject고린내en_US
dc.subject노린내en_US
dc.subject비린내en_US
dc.subject고소한내en_US
dc.subject지린내en_US
dc.subject매운내en_US
dc.subject의미 전이en_US
dc.subjectOlfactoryen_US
dc.subjectAdjectiveen_US
dc.subjectmeaningen_US
dc.subjectSemantic Featuresen_US
dc.subjecthyangnaeen_US
dc.subjectgorinnaeen_US
dc.subjectnorinnaeen_US
dc.subjectbirinnaeen_US
dc.subjectgosohannaeen_US
dc.subjectjirinnaeen_US
dc.subjectmaeunnaeen_US
dc.subjectmeaning transferen_US
dc.title후각 형용사의 의미론적 연구en_US
dc.title.alternativeA Semantic Study on Olfactory Adjectives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volume51-
dc.relation.page--
dc.relation.journal국제어문-
dc.contributor.googleauthor전은진-
dc.contributor.googleauthorJeon, Eun-jin-
dc.relation.code2012212209-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ENTER FOR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S]-
dc.sector.department-
dc.identifier.pideunjin1510-
Appears in Collections:
CENTER FOR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S](창의융합교육원)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