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88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흥순-
dc.contributor.author박부명-
dc.date.accessioned2017-11-29T02:30:43Z-
dc.date.available2017-11-29T02:30:43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20.500.11754/33769-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421en_US
dc.description.abstract청년층은 취업을 통해 학생에서 근로자로, 결혼과 출산을 경험하며 그 사회적위치가 빠르게 변화하는 연령대이다. 청년층의 이러한 특성은 지역인구의 사회적 증가와 자연적 증가를 동시에 가져오며 지역발전에 기여한다. 그러나 최근 취업 포기, 결혼 포기 등 ‘N포세대’ 라 불리는 청년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청년문제가 지속될 경우, 비혼 으로 인한 1인 가구 증가와 만혼에 따른 출산율 하락을 불러온다. 이는 장기적으로 인구감소에 따른 잠재성장률 하락으로 우리나라의 미래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렇게 청년층의 인구이동이 갖는 중요성이 크지만, 관련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선행연구들은 주로 전 연령을 대상으로 인구이동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일부 연구에서만 부수적으로 청년층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연령별로 주거소비의 형태가 다르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청년층과 같은 특정 연령대의 인구이동에 대한 연구는 굉장히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수도권은 지난 30년간 19세~34세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유입되었으며 2015년 기준 전국 청년층의 52.0%가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다. 근 미래에도 수도권은 청년층의 주된 거주지로서 기능할 것이므로 수도권 주택시장과 관련된 청년층 인구이동에 대한 연구는 다른 연령대의 인구이동 연구와 차별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청년문제 중 주거문제에 주목하여 주택시장의 특성에 따른 청년층의 인구이동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공간적 범위는 인천 강화군과 옹진군을 제외한 수도권 64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2015년으로 정하였다. 종속변수로 19세~34세의 청년층을 설정하되 연령별 특징이 다르게 나타날 것을 가정하여 19세~34세, 19세~29세, 25세~34세 연령그룹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주택시장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수도권 주택시장의 유형별 공급, 가격의 변화와 2015년 오피스텔의 비율, 비아파트 비율, 30년 이상 노후주택비율, 주택보급률 등의 재고주택 통계를 설정하였다. 일부 지표의 경우 자료구득의 한계가 있어 취득시점을 조정하였다. 또, 주택 외의 지역적 특성인 청년층의 인구비중, 인구밀도, 사업체의 수, 재정자립도, 일평균 도시철도 승하차인원, 공원면적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변수들의 영향력이 과대평가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러한 변수를 토대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주택시장의 특성에 따른 청년층의 인구이동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청년층의 인구이동에 있어 단독다가구 주택의 변화와 주택보급률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독다가구 주택의 증가는 청년층의 인구유입을 촉진시켰으며, 주택보급률의 상승은 청년층의 인구이동을 주저하게 만들었다. 또, 지역특성을 통제하지 않았을 때 청년층은 상대적으로 높은 임차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지역으로 진입을 주저하며, 아파트 위주의 신규주택 공급은 규모와 가격 면에서 청년층이 거주지로 선택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청년층의 인구이동은 연령그룹별로 조금씩 상이하게 나타나기도 했다. 19세~29세 청년층의 인구이동은 단독다가구 주택 외에도 오피스텔과 비아파트 주택유형이 많을수록 인구유입에 영향을 주었다. 반면 25세~34세의 청년층은 전체 아파트 준공면적 증가가 인구이동에 추가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주된 연구대상은 아니었지만 통제변수 중에 재정자립도와 일평균 승하차인원이 청년층의 이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년층 내에서도 대학생, 사회초년생이 선호하는 주택 유형과 결혼 및 출산을 경험한 그룹이 선호하는 주택 유형이 다른 것을 의미하며 청년주거정책의 시행에 있어 대상별로 정책적 목표를 구분해야 할 필요성을 지닌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현재 시행중인 대학생 전세임대주택, 신혼부부 특별공급, 행복주택 등의 청년주거정책이 비교적 적절한 공급유형의 선택과 대상의 구분이 이루어졌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절대적인 공급량의 한계로 이들 정책이 인구이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지 못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패널분석과 같은 추세적 이동, 청년주거정책 시행 효과와 함께 다양한 변수를 활용한 청년층 인구이동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 청년층, 인구이동, 주택시장, 다중회귀분석, 19세~34세, 19세~29세, 25세~34세; The young generation is the age group whose social position is rapidly changing by experiencing marriage and childbirth from student to worker. Such characteristics of this generation bring about the social increase and natural increase of local population, which contributes to the local development. However, recently, the youth problem called 'Lost Generation' giving up many things like employment and marriage has become a social issue. In case when the youth problem is continued, it causes the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 due to unmarried men/women, and the decrease of birthrate in accordance with late marriage. In long term, this is led to the decline of potential growth rate in accordance with population decrease, which would be working as a huge burden to the future of Korea. Even though the population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is very important,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related to it. Most of the preceding researches are on the population movement targeting the whole age groups while some partial researches additionally mention the young generat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each age group has different form of housing consumption, researches on the population movement of specific age groups like the young generation could be really valuabl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population in 19-34 has been continuously flown for last 30 years. On the basis of 2015, 52.0% of the young generation in the whole nation is resid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s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ill be working as the main residence for the young generation in the near future, the research on the population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related to the housing market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s differentiated from the research on the population movement of other age groups. This study examined the population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market focusing on the housing problem of youth issues. Targeting 64 local governm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except for Ganghwa-gun and Ongjin-gun of Incheon as a spatial range, the temporal range was decided as 2015. Setting up the rising population in 19-34 as a dependent variable, supposing that each age group shows different characteristics, it was divided into age groups in 19~34, 19~29, and 25~34. In order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market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statistics of the existing housing were set up such as supply of each type to the capital housing market and price change from 2011 to 2014, and the rate of officetel, rate of non-apartment, rate of worn-out housing for more than 30 years, and rate of housing supply in 2015. In case of some indicators, it was limited to collect data, so that the time of acquisition was adjusted. Also, setting up local characteristics except for housing, such as population percentage of the young generation, population density, number of business, financial independence, daily average number of get on/off for urban railway, and park area as control variables, the influence of variables could not be overestimated. Based on such variables, the population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market was considered throug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results, the population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was influenced by the change in detached multi-family housing and the rate of housing supply. The increase of detached multi-family housing promoted the population inflow of the young generation while the population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was hesitated by the rising rate of housing supply. Also, when the local characteristics are not controlled, the young generation hesitates to enter the region where relatively high rent should be paid while the new housing supply focusing on apartment is hard to be selected by the young generation for residence because of size and price. The population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was a bit different in each age group. The population inflow of the young generation in 19~29 was influenced when there were many officetels and non-apartments on top of detached multi-family housing. On the contrary, the population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in 25~34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increase of the whole size of completed apartment area. Even though it was not the research subject of this study, among control variables, the financial independence and daily average number of get on/off had effects on the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It means that the housing type preferred by college students and social novices is different from the housing type preferred by the group with experiences in marriage and childbirth, within the same young generation.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divide the purposes of policies for each subject when executing the youth housing poli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current youth housing policies such as rental housing for college students, special supply for newly-married couples, and happiness housing were relatively suitable in the aspect of selection of supply type and division of subjects. However, due to the absolute limitation of supply, it was not possible to see the effects of these polices on the population movement. It is expected to see follow-up researches on the population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using diverse variables on top of the secular movement such as panel analysis, and effects of youth housing policies. Keywords: Young Generation, Population Movement, Housing Marke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eople in Their 19~34, People in Their 19~29, People in Their 25~34-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수도권 주택시장과 청년층의 인구이동 특성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Mig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Housing Market and The Young Gener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박부명-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Bumyung Park-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부동산융합대학원-
dc.sector.department도시·부동산개발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