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8 0

로봇을 이용한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아동의 운동량 측정

Title
로봇을 이용한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아동의 운동량 측정
Other Titles
A Robot-Assisted Kinematic Measure for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RAKMA
Author
민아란
Advisor(s)
안동현
Issue Date
201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목적: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이하 ADHD) 는 주의산만, 과잉행동, 충동성을 주증상으로 하는 신경발달질환이다. 1980년 이전에는 이 질환을 주의력 결핍장애 (Attention-Deficit Disorder,ADD)로 명명하였고 이후 과잉행동 증상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ADHD로 변경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잉행동에 대한 평가는 현재까지 관찰자의 주관적 보고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객관적인 운동량의 측정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로봇을 이용한 ADHD 운동량을 측정하고 로봇을 이용한 ADHD 선별 도구의 유용성을 확인하겠다. 방법: 만 5세-12세 ADHD군 35명, 일반군 50명을 대상으로 기존의 ADHD 평가 도구인 아동 행동 평가 조사표 (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한국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진단검사 (Korea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iagnostic Scale; K-ADHDDS)의 평가결과와 로봇을 이용한 ADHD 운동량 측정을 (Robot Assisted Kinematic Measure for ADHD; RAKMA) 적용하였다. RAKMA 적용 후 프로그램에 대한 정반응, 오반응, 누락반응, 완료율을 측정하였고 운동량으로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 프로그램 수행중 이동 거리, 이동 속도를 측정하여 기존의 평가 도구와 평균 값을 비교,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통계는 SPSS 20.0을 사용하였다. 결과: ADHD군과 일반군의 ADHD 평가 결과 CBCL-집중력 문제, CBCL-DSM ADHD, K-ADHDDS에서 두 군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ADHD군과 일반군의 RAKMA 과제 평가 결과는 정반응, 오반응, 누락반응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완료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RAKMA 운동량 평가는 ADHD군에서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이 길고, 이동 거리가 짧고, 이동 속도는 빨랐다. ADHD 평가 결과와 RAKMA 지표의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RAKMA의 완료율과 반응시간을 제외한 정반응, 오반응, 누락반응, 이동 거리, 이동 속도에서 모든 ADHD 평가 지표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RAKMA 지표간의 상관분석에서는 반응시간과 완료율에서 높은 상관이 있었고 이동 거리와 정반응, 오반응, 누락반응, 완료율의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이동 속도와 정반응, 오반응, 누락반응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RAKMA는 기존의 ADHD 평가 도구와 비교했을 때 ADHD 평가로서 활용 가능하고 기존의 ADHD 평가 방식에 운동량을 동시에 측정, 제시하여 편리하고 유용한 선별 도구로서 타당도를 입증하였다. 중심단어: 로봇, ADHD, 운동량 분석, 객관적 측정
URI
http://hdl.handle.net/20.500.11754/3354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29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