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9 0

신라 산성의 수구(水口) 연구

Title
신라 산성의 수구(水口)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Drain System of the Silla Fortresses
Author
손영정
Alternative Author(s)
Son, Young Jung
Advisor(s)
안신원
Issue Date
201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 문 요 지 본고에서는 신라 산성의 수구에서 확인되는 특징을 살펴보고, 출토유물 및 축성기법 등을 종합하여 수구의 변화양상 및 요인을 유추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18개의 성곽에서 확인되는 수구 36기이며, 밀집되어 있는 양상에 따라 크게 4개의 지역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신라 수구의 입지는 기본적으로 물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려오면서 많은 물이 모이는 저지대에 위치하며, 집수시설의 주변에 조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신라 수구는 성벽 중간부를 관통하는 성벽 통과식이었으며, 일부 성문의 개구부에 조성되는 성문 통과식이 나타난다. 개수에 따라 단구식과 다구식의 수구로 구분되는데, 단구식으로 조성한 예가 가장 많다. 입면 형태는 삼각형, 제형, 방형, 오각형이 확인되었으며, 방형이 대다수이다. 수구의 벽석을 조성하는 방식은 길이모쌓기, 길이세워쌓기, 작은모쌓기가 있으며, 높이에 따라 벽석 쌓기 방식의 차이가 확인된다. 배수로의 내부 바닥은 대부분 유단식으로, 설석과 함께 신라 산성 수구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보여진다. 각 지역에서 나타나는 신라 수구 양상은 다음과 같다. 먼저 소백산맥 이북지역의 수구들은 거의 동일한 양상으로 확인되는데 형태는 모두 제형을 띠고 있다. 측벽은 얇은 판상석을 길이모쌓기로 높게 쌓아올렸다. 소백산맥 이서지역에서는 다른 지역에 비해 삼각형, 방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태가 확인되며, 길이모쌓기가 주 방식이지만 일부 작은모쌓기와 길이세워쌓기가 확인된다. 한강유역의 성곽에서는 성벽 통과식, 성문 통과식의 제형 또는 방형 수구가 확인된다. 제형의 수구는 측벽을 길이모쌓기 방식으로, 방형계열의 수구는 작은모쌓기 방식으로 측벽을 구성하는 경향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낙동강 이서지역에서는 삼각형과 방형 수구는 측벽을 길이세워쌓기 하였는데 이러한 측벽 구성방식은 다른 지역에서 거의 확인되지 않는 방식이다. 한편 호남 동부지역에서만 확인되는 백제 후기의 수구는 다양한 형태 및 조성기법이 확인되는 신라 수구와 달리 모두 방형의 형태에 측벽도 작은모쌓기 방식으로 조성하였다. 또한 경사지는 바닥을 비교적 평평하게 만든 무단식이 확인되는 점도 유단식으로 축조되는 신라의 수구들과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신라 수구는 지역에 따라 유사성과 상이성을 띠고 있다. 이러한 수구의 지역적 양상은 수구를 조성하는데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자연 환경적 요소와 성곽의 축조기법 상에서의 확인되는 지역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URI
http://hdl.handle.net/20.500.11754/3332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44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ULTURAL ANTHROPOLOGY(문화인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