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2 0

문화소외지역을 위한 무용교육 지원사업 활성화방안

Title
문화소외지역을 위한 무용교육 지원사업 활성화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mprovement of Dance Education Programs for the Culturally lsolated Class in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s: Based on the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uthor
공주희
Alternative Author(s)
Kong, Ju Hee
Advisor(s)
김운미
Issue Date
201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정부는 문화융성을 4대 국정기조의 하나로 제시하면서 국민들의 문화 참여를 확대하여 문화 가치가 사회 전반에 확산되고 국민 개개인의 행복을 지향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렇듯 문화 향유 및 삶의 질을 위하여 정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주력을 다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많은 분야 중 타 분야에 비해 무용교육의 지원이 미비하지만 무용교육의 계속되는 발전방안으로 인하여 앞으로는 좀 더 확장되고 대두되길 바라고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예술상상 체험대의 지원사업을 통하여 문화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무용교육 지원사업의 주체를 살펴보고 그의 대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에서는 문화소외지역의 개념 및 대상을 정의하고자 하였으며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및 동향을 살펴보며 문화예술교육의 내실화를 다졌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의 무용교육 역할로서 무용교육을 학교무용교육과 대상별 무용교육, 평생 무용교육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예술교육 사업 현황을 통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나누어 보았으며 그를 통한 예술교육사업의 흐름 현황까지 살펴보았으며 색색깔깔 놀이체험단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문화소외계층을 위한 무용교육의 필요성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문화예술교육을 접하기 어려운 소학교를 대상으로 무용교육을 실시하면서 수혜자들에게 어떠한 교육방식으로 무용교육을 접근해야 하는지, 무용교육의 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점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지원사업의 성과보고를 통해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문화소외계층을 위한 무용교육의 지원사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여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교과와 교과와의 통합으로 새로운 장르의 교육을 탄생시켜 학생들에게 더욱 증폭된 교육을 실시하고 새 영역에서 다각도의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통합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을 대두하고자 하였다. 둘째, 학교문화예술교육강사의 적합한 강사를 적용하기 위해선 다양하고 체계적으로 교육을 받은 전문예술강사를 배출해야하며 전문적 소양을 지닌 전문 예술강사의 기반 확충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경제·사회·문화를 고려하면서 지역의 문화적인 고유특성을 강점화 시켜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지역특색을 살린 프로그램 개발의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실시한 예술상상 체험대의 색색깔깔놀이 체험단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문화소외지역을 위한 무용교육의 활성화방안을 찾고자하였다. 무용교육의 통합문화예술교육실행과 전문예술강사 기반 확충, 지역특색을 살린 프로그램 개발의 활성화 방안을 통해 수혜자들의 경제적·사회적·지리적 여건 등을 고려하여 완성도를 높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또한 무용교육의 발전방향이 소외계층을 위한 사업안으로 더욱 확대되길 조망한다.; The Korean government identified 'cultural enrichment' as one of the four key agenda, to promote greater participation of people in cultural activities so that the society can be richer with cultural values and people can be happier. Accordingly, the government has made vigorous efforts to boost education on arts and culture to enhance appreciation of art and quality of living. However, compared to other areas of arts and culture, support for dance education has been weak. Hoping it would be strengthened, we introduce Imaginative Art Group project of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d examine who support dance education for culturally marginalized people, and discuss how to strengthen such support. First we defined the concept and scope of culturally marginalized regions to provid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examine the current policies and trends of education on arts and culture. To identify the role of dance education in detail, we examined different types of dance education: school education, education for various groups of people, and life-long education. Then we reviewed education projects of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dividing them into school education for students and social education, emphasizing the need to provide dance education for marginalized people, with an example of Colorful Play program. Based on project reports on dance education given at schools in remote areas with restricted access to arts and cultural education, we discussed what kind of teaching approach to take to dance education, and how dance education can be improved. Finally, we provided three proposals to strengthen support for dance education for culturally marginalized people. First, the importance of interdisciplinary, integrated education on arts and culture needs to be underscored that can provide broader learning to students and help them appreciate arts and culture from various perspectives. Second, competent teachers that received extensive and well organized education should be trained to provide effective education at school, and to do so, broadening a pool of professional lecturers with excellent qualifications and educational background is essential. Third, greater efforts are need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hat reflect uniqu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regions in consideration of their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This study proposes how to strengthen dance education in culturally marginalized regions, based on an analysis of Colorful Play program conducted by Imaginative Art Group, sponsored by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We hope that quality programs for dance education would be developed through more integrat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a broader pool of competent lecturers, and programs with distinctiv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consideration of beneficiaries' economic, social and geographical circumstances, and that more dance education would be provided for culturally marginalized people.
URI
http://hdl.handle.net/20.500.11754/3332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32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