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60 0

사적 관계의 공론화와 미디어의 사사화: TV 예능프로그램의 장르 변화와 사회 변화

Title
사적 관계의 공론화와 미디어의 사사화: TV 예능프로그램의 장르 변화와 사회 변화
Other Titles
Public Sphere, Private Affairs and Reality Shows in Media
Author
윤선희
Keywords
공론장; 개인화; 미디어와 사회변화; 가족과 사회; 예능 프로그램; Public Sphere; Individualization; Family; Reality Shows; Media and Social Changes
Issue Date
2015-05
Publisher
한국문화사회학회
Citation
문화와 사회, v. 18, Page. 493-532
Abstract
이 연구는 현재 미디어에서 가족 관계를 소재로 한 TV 예능 프로그램이 확산되는 현상에 대해 사회적 함의를 찾고 미디어의 공적 역할을 재고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론적으로는 하버마스를 위시한 공론장 이론을 재점검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미디어 사사화의 현실을 진단하고 공론장으로서 미디어의 위상을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미디어의 사사화는 좀 더 넓은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는바벡을 위시한 사회변동 이론을 도입하여 현재 글로벌한 변화와 우리 사회의 변화 특히 가족 관계의 변화와 이에 대한 미디어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벡은 21세기 사회 변화를 개인화에서 찾고 있으며 전통과 사회 제도가 해체되는 위험사회로 경고하고 있다. 현재 방송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사적 갈등과 변화된 가족 관계의 부각은 일시적인 문화 추세나 이데올로기로만 설명할 수 없고 벡이 제2의 근대화로 부르고 있는 사회 구조적 변화와 관계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 가족 관계를 다룬 예능 프로그램들의 급증과 인기 상승세를 개인화와 공공영역의 사사화가 미디어를 통해 사회 적응의 기제로 작용하고 재귀속화하는 과정으로 보고 있다. Reality shows become a popular genre on TV whereas popularity of fiction programs declines. There are numerous reasons in genre changes on media;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economy, reality program has benefits due to economic budget of production and trendy to popular demands particularly facing economic crisis throughout the world; additionally, from cultural perspective, people look for entertainment in reality and daily lives rather than grand scaled plan and narratives in the post-modern era. This research goes one step further and look into rising reality shows on TV in the context of social changes in the 21st century. This study will start the discussion of changes in media using Habermas’s theory of public sphere and its application to media studies. Moreover, sociological theory of Beck who adheres to individualization as a force of the second modernization in the 21st century will be applied to explain de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family relations. As case studies, Korean TV programs, including talk shows and entertainment programs which portray father’s childcare will be examined. These programs demonstrate changing role of fathers in Korean family and at the same time privatization of family relations in the context of social reconstruction in the second modernization period.
URI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361296http://hdl.handle.net/20.500.11754/24396
ISSN
1975-723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S](사회과학대학) > MEDIA COMMUNICATION(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