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23 0

한국 브랜드의 원산지에 대한 해외 소비자 혼동에 관한 실증 연구

Title
한국 브랜드의 원산지에 대한 해외 소비자 혼동에 관한 실증 연구
Other Titles
An Empirical Study on Overseas Consumer Confusion on Korean Brand Origin
Author
한충민
Keywords
원산지 혼동; 소비자 혼동; 원산지 효과; 다층분석 기법; brand origin confusion; consumer confusion; country-of-origin effects; multi-level analysis
Issue Date
2015-02
Publisher
한국경영학회
Citation
경영학연구, v. 44, NO 1, Page. 129-150
Abstract
본 연구는 28개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 제품을 대표하는 삼성과 현대자동차 브랜드의 원산지 혼동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원산지 혼동이 브랜드 이미지와 한국 제품의 원산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함께, 원산지 혼동 정도와 관련되어 있는 선행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 요인은 소비자 혼동 이론을 바탕으로 소비자 개인적 요인과 국가 특성 요인을 포함하여 다층모형 통계기법을 활용하였다. 검증 결과, 우선, 삼성과 현대자동차를 일본 브랜드로 혼동하는 소비자가 한국 브랜드로 정인지하는 소비자보다 해당 브랜드에 대해 더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삼성과 현대자동차를 한국 브랜드로 정인지하는 소비자가 혼동하는소비자보다 한국 제품의 원산지 이미지가 더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원산지 혼동의 선행 요인 분석에서는, 원산지를 혼동하는 소비자는 대체로 세계주의 성향이 낮은 반면에, 자민족주의 성향은 높은 경향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원산지를 혼동하는 소비자가 많은 국가는 대체로 지리적 거리와 문화적 거리가 먼 국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술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기업 마케팅과 정부 정책 측면에서 흥미로운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consumer confusion on brand origin of Samsung and Hyundai Motors in 28 countries.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effect of brand origin confusion on brand image and country-of-origin image. In addition, drawing from consumer confusion theory, we proposed and tested several individual-level and country-level antecedents of origin confusion through a multi-level modelling technique. As individual-level antecedents, consumer cosmopolitan and ethnocentric values and demographics were considered, whereas country characteristics suggested from“psychic distance” theory were included as country-level antecedents. Our findings show that consumers who confused Samsung and Hyundai Motors as Japanese brands exhibited more favorable brand image. But those who correctly recognized them as Korean brands showed more favorable perceptions about Korean-origin products in general. In addition, our analyses on antecedents indicate that confused consumers tend to be less cosmopolitan and more ethnocentric. Also, the study found more confused consumers in geographically culturally distant countries. Our findings also provide interesting implications related to marketing and governmental policies. As marketing implications, origin confusion may not be necessarily detrimental to firms when their brands are confused with favorable countries of origin. On the other hand, governments perhaps ought to reduce consumer origin confusions for successful brands, since the brands may contribute to formation of a favorable country image.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237797http://hdl.handle.net/20.500.11754/22371
ISSN
1226-1874
DOI
10.17287/kmr.2015.44.1.12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S](경영대학)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