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 0

TAM 모형과 미디어 풍부성 이론을 기반으로 틱톡(TikTok, DouYin) 사용자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TAM 모형과 미디어 풍부성 이론을 기반으로 틱톡(TikTok, DouYin) 사용자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TikTok (DouYin) Us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Based on The TAM Model and Media Richness Theory
Author
노승관
Keywords
TAM 모형; 미디어 풍부성 이론; 사용자 만족도; Technology Acceptance Model; Media Richness Theory; User Satisfaction
Issue Date
2023-06
Publisher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Citation
브랜드디자인학연구(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v. 21, NO 2, Page. 287-298
Abstract
오늘날 바쁜 라이프스타일(Life Style)과 콘텐츠의 폭증으로 인해 10분 이내의 숏폼(Short-form) 콘텐츠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숏폼 플랫폼인 틱톡(TikTok, DouYin)은 최근 몇 년 동안 수억 위안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했을 뿐 아니라 인터넷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 습관을 변화시켰다. 오늘날 숏폼 플랫폼의 크리에이터는 전문화, 직업화, 고학력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치열한 경쟁 속에서 크리에이터들은 사용자의 니즈와 취향을 파악해야만 한다. 본 연구는 숏폼 콘텐츠의 사용자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틱톡 애플리케이션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으며, TAM 모형과 미디어 풍부성 이론을 기반으로 연구 모형을 설정한 후 5개의 연구 가설을 제시하였다. 틱톡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오류 및 무응답을 제외한 응답 350부를 선별하였다. SPSS 와 AMO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해 응답을 분석한 결과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이용 용이성, 인지된 오락성, 사회적 영향, 정보 및 콘텐츠 풍부성, 정보 품질 신뢰성의 요인이 틱톡 사용자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크리에이터가 사용자 니즈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숏폼 콘텐츠 플랫폼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하고 크리에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Short-form content consumption within 10 minutes is increasing due to the busy lifestyle and the explosion of content. TikTok, a representative short-form platform, has not only created hundreds of millions of yuan in economi c value in recent years, but has also changed Internet users' content consumption habits. Creators of shortform platforms tend to become specialized, professionalized, and highly educated. In fierce competition, creators must grasp users' needs and tastes. We would like to explore the fac tors that affect us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shortform content. Five research hypotheses were presented after setting up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TAMmodel and the media abundance theory. 350 copies of the survey responses were selected, excluding errors and no responses. Analysis of responses using SPSS and AMOS statistical programs showed that factors such as perceive 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entertainm ent, social impact, information and content abundance, an d information quality reliabi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ikTok us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hese results can help creators understand user needs in the future, and content platforms will be the basis for improving user interfaces and supporting creators.
URI
https://information.hanyang.ac.kr/#/eds/detail?an=edsers.432207&dbId=edsers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90245
ISSN
1738-0863
DOI
10.18852/bdak.2023.21.2.28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